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진단 u시티 3년-상]몸풀기 끝내고 출발선 섰다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집 벗어나 도시 첨단화로"…행정 혁신 동반 필수

참여정부가 21세기 대한민국의 미래 비전으로 제시한 것은 '유비쿼터스 코리아'였다. 특히 2005년부터는 건설 산업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해 '미래형 도시'를 구현하는 'u시티'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그로부터 3년. 꿈 같고 영화같던 구상들이 차츰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가 적극 주도하면서 u시티 사업은 지금까지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6월 29일에는 '유비쿼터스도시 건설에 관한 법률'이 입법예고돼 오는 9월 29일부터 본격 발효될 예정이다. 이를 기점으로 u시티는 긴 워밍업을 끝내고 비로소 본격 확산을 위한 출발선에 섰다.

아이뉴스24는 '진단 u시티 3년' 시리즈를 통해 u시티 사업의 현안과 정책 변화 등을 점검하고, 그 방향성을 3회에 걸쳐 진단한다. <편집자 주>

2004년 동탄 신도시 분양을 위한 청약 현장. 신도시 청약 현장에서 으레 강조되는 '투자 메리트'에 대한 설명을 들을 것으로 기대했던 시민들은 한국토지공사와 신도시 건설 사업자들의 발표 내용을 듣고 한동안 어리둥절했다.

이날 청약현장에서는 부동산으로서의 가치나 서울 인접 몇km 등의 상투적인 설명은 아예 생략됐다. 대신 청약 대상자들의 눈 앞에는 '미래형 디지털 홈'이 펼쳐졌다. 가정의 TV와 냉장고, 난방시설 등을 리모컨 하나로 간단하게 조작하고, 집 밖에서도 휴대전화로 작동시킬 수 있는 화려한 '꿈의 현장'을 보여줬던 것이다.

신도시 내의 운전자들은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ITS)이 구현된 도로를 운행하면서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받고, 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에 따라 신호 주기가 저절로 바뀐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그리고 2008년 현재. 그 때까지만 해도 영화 속 얘기처럼 들렸던 설명은 현실이 됐다. 비단 동탄신도시만의 얘기가 아니다. 인천 송도, 경기도 용인 및 파주, 판교, 수원 광교 등 새롭게 건설되는 도시개발프로젝트에는 '유비쿼터스'라는 단어가 빠지지 않는다.

이처럼 첨단 IT 기술과 서비스를 주거, 교통, 시설 등 도시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접목해 도시 내에 발생하는 모든 업무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미래형 첨단도시를 '유비쿼터스 도시(u시티)'라고 부른다.

◆u서비스, 실생활 적용에 중점

u시티의 초기 개념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와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 등이 중심을 이뤘다. 하지만 이제는 도시 전체를 지능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도시에 전선이나 수도관 배설을 하듯 통신 네트워크를 설치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민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u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해 도시민의 안전과 편리함을 높인다는 것이 미래형 u시티의 기본 골자다.

행정안전부 산하 이영로 u시티지원센터장은 "u시티라는 단어 자체는 추상적이지만, 시민들은 직접 피부에 와 닿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받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정부와 관련 서비스 사업자들은 다양한 연구 과제를 통해 ▲CCTV 설치 및 모니터링을 통한 'u방범' ▲병원과 가정을 직접 연계하는 'u헬스' ▲도심 교통 흐름 관리를 위한 'u교통'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 정보 등을 제공하는 'u거리' 등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u서비스 모델을 발굴하는데 심혈을 기울여 왔다.

이미 서울의 청계천과 명동, 부산 해운대 등의 특정 지역구에 u시티 시범사업을 실시해 가시적인 성과도 얻었다는 것이 이 센터장의 설명이다.

◆친환경에 도시간 연계도 고려

u시티는 이제 도시 단위를 넘어서서 대한민국 전체를 관장할 수 있는 행정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지역별로 제각기 추진되고 있는 u시티들이 서로 연계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건국대학교 토목공학과 편무욱 교수는 "좁은 국토를 균형있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u국토' 개념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면서 "u시티 연계가 원활해지면 지역 격차는 줄어들고 국토 전체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u시티는 최근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환경 문제' 해결사로도 진화했다. 도시 설계 단계부터 하천이나 도심에 센서를 설치해 수질 오염이나 대기 오염 등을 수시로 체크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환경 문제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건설 계획이 발표된 동탄 제2신도시의 경우 '저탄소 도시'로 구축될 계획이라고 국토해양부 측은 밝혔다.

저탄소 도시에는 가로등의 점등 및 소등을 태양의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는 'u거리'나 대형 시설물을 IT 솔루션을 통해 통제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관리시스템(FMS)' 등의 u시티 서비스가 적용되는데, 이를 통해 전력 소모량을 대폭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낮출 수 있다는 것이 국토해양부의 설명이다.

이영로 u시티지원센터장은 "u시티를 두고 미래니, 첨단이니 하면서 겉만 번듯하게 포장한, 사실상의 건설 육성책이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면서 "그러나 도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 환경을 개선하는 u서비스를 직접 목격하게 되면 IT가 결코 u시티의 '액세서리'는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앙정부-지자체 행정혁신 없으면 '무용지물'

환경 친화적이고 지능적인 '이상적 u시티'를 만든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운영 주체인 중앙 정부나 지자체의 행정 혁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u시티는 빛좋은 개살구로 전락할 공산이 크다.

최창섭 뉴라이트방송통신정책연구센터 대표는 "첨단 기술을 수용할 수 있을만큼 행정 시스템 역시 표준화되고 유연하게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u시티는 건설 산업과 IT 산업의 융합 결정체로, 행정안전부-지식경제부-국토해양부 등 다양한 부처의 업무 역시 '융합'의 과정을 거쳐야 u시티 구현의 효과가 비로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부처간 융합,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유기적인 연결,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력 등이 요구되는 만큼, 그간 통상적으로 처리해왔던 행정 처리 과정으로는 u시티의 역동적이고 방대한 서비스를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영로 u시티지원센터장 역시 "u시티 구현과 함께 바야흐로 행정기관 역시 국제 수준의 행정 서비스가 요구되는 시점이 왔다"면서 "그간 전자정부라는 이름으로 행정 혁신이 상당부분 진행되긴 했으나 아직 갈 길이 멀기에 끊임없이 혁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u시티는 세계 어느 선진도시에서도 아직 구체화하지 못했고, 우리나라가 최초이자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하면서 "때문에 당연히 시행착오도 나오고 있지만 이를 극복하는 과정마저도 우리의 재산"이라고 강조했다.

강은성기자 esther@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진단 u시티 3년-상]몸풀기 끝내고 출발선 섰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