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해설] KT 디지털시네마 사업 진출 배경 및 전망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KT가 본격적으로 디지털시네마 사업에 진출하면서 국내 디지털 영화 상영관이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영화 제작 및 유통 환경도 디지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시네마란

디지털시네마는 영화를 디지털 파일 형태로 가공 처리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배급하고 디지털영사기로 관람객에게 제공하는 영화를 말한다. 영화는 처음부터 디지털카메라로 제작하기도 하고 필름으로 촬영한 것은 디지털로 전환하는 작업을 거친다.

디지털파일은 네트워크로 전송되기도 하지만 하드디스크에 저장돼 배급되기도 한다. 미국의 경우 네트워크 환경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위성이나 하드디스크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디지털시네마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영화를 뜻한다.

국내에서는 CGV, 메가박스, 롯데시네마 등이 디지털시네마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하드디스크 방식과 네트워크 방식이 공존하고 있다. KT는 광대역통합망(BcN)을 통해 디지털 영화를 극장에 전송한다는 계획이다.

디지털시네마의 가장 큰 장점은 영화 배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화를 상영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당 약 200만원의 프린트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 비용은 일반적으로 배급사가 부담한다. 또한 종영 후에는 필름을 소각해야 한다.

디지털시네마는 디지털 파일로 만든 후 네트워크를 전송하기 때문에 초기 네트워크 및 플랫폼 비용, 디지털영상 장비 투자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필름보다 배급 비용이 절감되고 소각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영을 위해 디지털 파일로 제작된 영화는 컨버전스 환경에서 다른 매체로 전환이 용이하다는 점도 장점이다.

◆KT, 디지털시네마 진출 배경

KT가 디지털시네마 사업에 진출한 것은 새로운 수익을 창출 노력 중 하나다. KT는 그동안 네트워크를 제공하면서 매출을 얻었다. 하지만 그 네트워크를 이용해 막대한 부가 가치를 창출한 것은 KT가 아닌 다른 콘텐츠 사업자들이었다.

이에 따라 KT는 자신이 보유한 방대한 네트워크를 이용해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들을 꾸준히 모색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비즈메카 사업이다. 마찬가지로 디지털시네마 사업도 KT가 가진 네트워크에 솔루션을 추가한 형태로 볼 수 있다.

KT의 디지털시네마 사업은 또한 콘텐츠 사업과의 연관을 갖고 있다. KT는 디지털시네마 사업 진출로 작년에 인수한 싸이더스FNH 및 내년에 진출할 IPTV와 함께 콘텐츠 제작, 배급, 플랫폼을 모두 지니게 됐다.

KT는 지난해 9월 사내에 디지털미디어부를 신설해 디지털시네마 사업을 준비하다 솔루션사업본부 내 영상솔루션 사업부로 이관했다.

하지만 통신사업자인 KT가 디지털시네마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극장주 입장에서는 굳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 디지털 영상 장비를 갖출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현재로서는 디지털로 제작된 영화도 많지 않은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KT는 극장의 디지털영상 장비를 자체 비용으로 구축키로 했다. 구축 비용은 스크린당 1억~1억2천만원이다. 올해 100개 스크린을 디지털영상 장비를 구축하게 되면 100여억원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KT 자체에서도 디지털영화를 전송할 수 있는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한다. 이 비용도 약 500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디지털영상 장비를 구축해 주는 대신 가상의 프린트비(전송 수수료)를 받게 된다. KT는 디지털시네마 사업을 통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영화 패러다임 바뀌나

KT가 본격적으로 디지털시네마 사업에 착수하면서 국내 영화 산업도 빠르게 디지털 기반으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상영관 중 디지털 스크린은 CGV 30여개, 메가박스 40여개, 롯데시네마 10여개 등 3대 상영관을 포함해 모두 100개에 불과하다.

하지만 KT의 참여로 이 수는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롯데시네마, 씨너스, MMC가 내년까지 500개 스크린에 디지털 장비를 갖추게 되면 전체 1천600여개 스크린 중 30%가 디지털화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CGV, 메가박스도 디지털시네마 사업에 속도를 내게 되면 디지털 스크린 수는 이보다 많아질 전망이다.

상영 방식이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제작 환경도 디지털로 전환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한편, 문화부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90어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디지털시네마산업 육성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영화진흥위원회를 통해 올해 말까지 국내 디지털시네마 표준 1차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디지털시네마 해외 동향

미국은 디지털시네마 초기부터 현재까지 세계적인 추이를 주도하고 있으며 민간 협의체 구성을 통한 표준화 전략, 시장 중심적 디지털시네마 환경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은 상업용 디지털시네마(2K/4K) 579개를 포함, 2006년 5월 현재 총 687개의 디지털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다. 디지털시네마표준 권고안인 DCI(Digital Cinema Initiative) 발표 이후 메이저 제작사들을 중심으로 DCI 사양에 대한 입장과 디지털 배급 계획 방안 발표하고 있다.

유럽은 헐리우드 영화의 범람을 막고 생존하기 위한 유럽 8개국의 제작자, 배급자, 극장주들의 디지털 배급 및 상영 네트워크인 시네마유로(CinemaNet Europe)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유럽은 총 439개의 디지털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은 1990년대 중반 NHK 방송 기술 연구소의 하이버전(HDTV) 공개 발표를 통해 처음으로 디지털 시스템의 가능성을 알린 후 지속적인 개발과 장비 관련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소니는 4X SXRD 디지털 영사기로 4K 기술을 제안하기도 했다. 5월 현재 총 59개의 디지털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은 300억 원의 정부 지원금과 정부 주도로 디지털시네마 전환계획 수립하고 있다. TV의 보급 확대에 따라 하강세를 기록하고 있는 영상 산업을 일으키고 중국 영화를 근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시네마가 제시되고 있다. 대도시 500 곳과 지방 2천 여 곳을 포함, 총 2천 500 개의 상영관의 디지털 전환 계획 추진되고 있다. 총 204개의 디지털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다.

강희종기자 hjkang@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해설] KT 디지털시네마 사업 진출 배경 및 전망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