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여기도 쿠팡이 온다고?"…제주부터 강원 산골까지 다 가는 '로켓배송'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국내 인구 90% 이상 쿠팡 로켓배송 이용 가능
로켓배송, 중장년·노년층 이용률도 20% 육박

[아이뉴스24 김태헌 기자] “여기도 쿠팡이 된다고?” 서울에 거주하는 A씨는 최근 지인인 B씨의 집이 있는 제주도를 찾았다. A씨는 B씨의 집에서 '쿠팡봉투'를 보고 깜짝 놀라 '이곳에도 쿠팡이 오느냐'고 물었고 B씨는 당연하다는 듯 "그렇다"고 대답했다. A씨는 제주도 중에서도 외곽인 한경면까지 쿠팡 배달이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제주도의 한 마을로 '로켓배송' 중인 쿠팡 차량. [사진=쿠팡]
제주도의 한 마을로 '로켓배송' 중인 쿠팡 차량. [사진=쿠팡]

◇ 작은 산골마을도 ‘로켓’…소비자들 “‘쇼핑 소외’ 사라졌다”

25일 택배 물류업계에 따르면, 쿠팡의 ‘쿠세권(쿠팡 배송 커버지역)’은 현재 전국 182개 지역까지 늘어났다. 지난 2020년의 120개 시군구에서 3년 만에 커버 지역이 51% 증가한 것이다. 이 지역 거주자들은 전국민 5100만명 가운데 약 4800만명으로, 국내 인구 기준 90% 이상이 쿠팡 로켓배송을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

충청도 예산과 보령, 경상북도 안동과 영천, 경상도 통영·사천, 전남 영암군 등 인구가 불과 수천명 수준에 그치는 인구소멸 위기지역에도 쿠팡은 진출했다. 택배업계는 지난 수년간 쿠팡이 지역 곳곳에 배송캠프 수십 개를 설립해 쿠세권을 이룬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주목을 받은 곳은 경남 사송신도시다. 인구 12만명이 거주하는 경남 양산신도시에 이어 쿠팡은 올해 6월부터 사송신도시에도 로켓배송을 시작했다. 7000여 가구가 입주했지만, 대형마트가 없는 탓에 주민들은 30분 이상 차를 타고 나가야 쇼핑을 할 수 있었다. 사송신도시 주민들은 “로켓배송이 있어야 한다는 주민들의 염원이 있었는데 마침 쿠팡이 쿠세권으로 만들어 편리하게 쇼핑하고 있다”며 “쇼핑 사막이 사라졌다”는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강원도에 삼척 도계읍(인구 9300여명)도 거주민 반응이 폭발적이다. 1970~80년대만 해도 ‘도계탄광촌’으로 유명세를 날린 부촌으로 한 때 ‘강아지도 만원짜리 지폐를 몰고 다닌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로 돈이 몰렸던 지역이다. 그러나 석탄산업이 쇠락하면서 폐광촌이 됐고, 한때 5만명을 넘던 인구는 5분의1 토막이 났다.

오랜 기간 대형마트 쇼핑 인프라가 없어 거주민들은 30~40km 떨어진 동해시나 태백시로 쇼핑을 가야 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 지역에 올 하반기 로켓배송이 시작되면서 한달 5000건 이상의 주문이 몰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거주민들은 배송 서비스를 누리지 못하거나, 가능하다 해도 3000원~6000원까지 추가 배송비를 지불해야 하는데 로켓배송은 배송비 부담이 없다는 점도 긍정요인이다.

전라북도의 한 마을로 '로켓배송' 중인 쿠팡 차량. [사진=쿠팡]
전라북도의 한 마을로 '로켓배송' 중인 쿠팡 차량. [사진=쿠팡]

◇단순 유통채널에서 소비자 불편 해소한 ‘사회 안전망’으로

유통업계에서는 쿠팡의 쿠세권 확대가 인구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 소비자들의 혜택을 크게 끌어올리고, 이들의 편의성을 극대화했다고 평가한다. 통계청은 우리나라 여성의 합계 출산율을 올 4분기 0.6명으로 전망했다.

‘한국은 2050년 홍콩에 이어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된 국가 2위가 될 것’이라는 뉴욕타임즈의 암울한 전망도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 시대에 인구소멸 지역에 주요 대형마트 같은 쇼핑 인프라 투자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쿠세권 확대는 단순 쇼핑채널을 넘어 지역의 거주 매력도와 가치를 높이고 있다.

트래픽전문업체 시밀러웹에 따르면, 지난 11월 기준 쿠팡의 접속자는 25~34세(24.59%), 35~44세(20.13%) 등 2040 세대가 주류지만, 55세~64세(12.29%), 65세 이상(5.38%) 등 중장년 노년층도 20%에 육박한다. 젊은층이 주로 사용하던 모바일 쇼핑에서 연령대를 가리지 않는 전국민적 쇼핑앱으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김찬호 중앙대 도시시스템공학과 교수는 “고령화로 인한 지방 소멸 문제는 당장 해법을 찾아야 할 시급한 과제”라며 “필수라고 여기던 기존 인프라 없이도 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시설계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하는데, 쿠팡이 지방 구석구석까지 생활필수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쿠팡이 단순 온라인 쇼핑채널에서 ‘사회 안전망’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설명이다.

최근 정부와 경제 단체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 후생을 높이려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전국의 대형마트 지점을 활용해 새벽배송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지만, 대형마트나 백화점이 유동인구가 적은 지역에 진출하기에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쿠팡 같은 로켓배송 시스템이 새로운 쇼핑 인프라로 빈자리를 채워준다는 목소리도 커졌다.

정부는 고물가 속에 가격은 동일하면서도 용량을 줄이는 꼼수 인상으로 소비자를 기만한다는 지적을 받은 식품사들의 ‘슈링크플레이션’을 방지하는 각종 대책을 도입했고, 금융당국은 대출 소비자 부담이 큰 중도상환수수료를 12월 한 달 간 면제하기로 했다.

심지어 기업을 규제하는 공정거래위원회도 최근 플랫폼 관련 규제법을 추진하면서 “소비자 후생과 편익 같은 시장 효율성이 클 경우 규제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취지의 입장을 피력하기도 했다. 소비자 니즈가 크고 사회 문제를 해결할 정도의 비즈니스라면 규제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소비자들도 쿠팡의 쿠세권 확대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강원도에 거주하는 한 네티즌은 “쿠팡 배송이 집 앞까지 될지 몰랐다”며 “쿠팡에 노벨상을 줘야한다”고 치켜세우기까지 할 정도다. 쿠팡이 전국 물류망 확대로 쿠세권을 작은 신도시와 산간벽지로 늘려가자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긍정적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집을 고를 때 '쿠세권'을 기본적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특히 ‘무늬만 양산’이라 불릴 정도로 소외된 경남 사송신도시(양산시 동면 등)를 비롯해 강원도 동해와 삼척, 거제도와 여수 지역까지 쿠세권이 확대되면서 쇼핑 인프라가 없는 지역 소비자들의 일상이 업그레이드됐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우리 지역도 이제 로켓배송이 된다’는 후기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쿠세권은 소비자 편익이 가장 높은 사회안전망으로 평가 받는 수준까지 온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김태헌 기자(kth82@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여기도 쿠팡이 온다고?"…제주부터 강원 산골까지 다 가는 '로켓배송'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