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벤처캐피털 구조조정 '태풍'...3대 악재 북상중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벤처캐피털(VC) 업계에 대규모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칠 전망이다.

상당수의 중·소규모 창투사들이 과거에 결성한 투자조합을 바탕으로 근근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관투자자 출자 소수집중 ▲과거 투자조합 만기도래 ▲벤처캐피털 평가 및 공시제도 도입 등 '3대 악재'가 북상중인 탓.

대규모 구조조정의 칼바람이 불면서 힘없이 무너져 내리는 업체가 속속 나타날 것이라는 위기감이 업계를 휩싸고 있다.

◆예견된 구조조정..."때가 왔다"

현재 업계는 난립 속에 상당수 벤처캐피털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상황. 벤처거품이 꺼지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던 업체들이 상당수 퇴출되긴 했으나 여전히 100여 업체들이 경쟁중이다.

실제로 중소기업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1999년 87개였던 창투사의 수는 벤처 붐과 함께 2000년 147곳으로 늘기도 했다. 이후 거품이 꺼지기 시작하면서 창투사 수도 2001년 145곳, 2002년 128곳, 2003년 117곳, 그리고 지난해 말 105곳까지 줄었다.

올 들어서도 아이엔지기술투자, 이벤처캐피털, 코리아21벤처캐피털 등 3개사 등록이 취소됐다.

그러나 여전히 100여개가 넘는 업체수는 많다는 지적이다. 이중에서 활발히 투자조합을 구성, 운용중인 벤처캐피털은 많아야 절반에도 못미치는 30~40개 수준에 불과한 때문.

따라서 투자를 활발히 모색해온 대부분의 창투사들은 100곳 이상의 벤처캐피털이 난립하고 있는데 대해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 그시기도 무르익었다는 전망.

아이뉴스24가 연재중인 '벤처캐피털 최고경영자(CEO) 릴레이 인터뷰'에 응했던 13개 창투사 대표 중 특별히 입장을 나타내지 않은 2명을 제외한 11명이 올 하반기부터 대규모 구조조정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현재 실질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는 벤처캐피털의 수가 적게는 20여 곳, 많게는 40여 곳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시장논리에 의해 업계가 재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뜻을 전했다.

◆모태펀드 등 출자 19개사 한정...만기 부실조합 100여개 '러시'

11일 한국벤처투자가 올 1차 모태펀드 출자사를 최종 발표한 가운데 국민연금, 한국IT펀드(KIF) 등 3대 대규모 기관투자자의 출자 계획이 완료됐다.

이를 분석해보면 3대 기관의 출자금을 배정받게 된 벤처캐피털은 중복된 곳을 포함 19개사로 압축됐다. 모태펀드와 KIF의 출자금을 함께 따낸 일신창투, 스틱IT투자, 인터베스트, MVP창투 등과 함께 KTB네트워크 등 규모있는 벤처캐피털을 한 축으로 투자조합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뚜렷해진 것.

당장 3대 기관의 출자금 배정에서 소외된 80곳 이상의 창투사들이 연내 노려볼만한 기관의 대규모 자금은 하반기 모태펀드의 2차 배정금 770억원이 전부다. KIF는 이번이 마지막 3차 배정이었고, 국민연금은 내년도 벤처캐피탈 출자를 이어갈지 불투명하다.

모태펀드 2차 출자의 경우 투자역량 본위의 출자 방침에 따라, 1차 때 배정을 받은 선두권 창투사들이 또 다시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허용돼 있다. 수많은 중·소 벤처캐피털들이 노리기에 진입장벽이 너무 높은 게 사실이다.

게다가 모태펀드와 KIF, 국민연금 등의 출자금 배정은 일반 대기업 등이 벤처캐피털에 대한 투자를 판단하는데 있어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3대 기관의 출자에서 소외된 창투사들은 대기업 계열사가 아닌 이상, 투자금을 조성하는데 있어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게 됐다.

이뿐만이 아니다. 올 들어 지난 벤처 붐 당시 무분별하게 결성된 투자조합의 만기가 대거 도래하면서 창투사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올 연말을 기준으로 만기가 되는 투자조합은 150여개이고, 1조2천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벤처산업의 쇠퇴기를 거쳐 온 조합들이다 보니 대부분 손실이 누적돼 있는 상황.

게다가 이전에 결성된 투자조합들은 창투사가 손실분에 대해 10%의 책임을 지는 우선손실충당의 의무를 적용하고 있다. 또 조합의 운용기간이 종료됐을 때 유한책임사원(LP)에 대해 현금배분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매각할 수 없는 현물 자산을 벤처캐피털들이 떠안아야 하는 부담까지 상존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조만간 도입될 창투사 공시제도와 중기청의 벤처캐피털 평가도 중·소 창투사들에는 '악재'라 할만하다. 중기청은 현재 창투사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9월 중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부실자산 등으로 낮은 등급을 받는 중·소 창투사들은 투자금 유치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되는 것.

오는 9월1일부터 창투사들의 투명 경영 취지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공시제도 또한 대다수 벤처캐피털의 구조조정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창투사 특성상 M&A 어려워...인력이동은 활기띨 듯

보통 부실기업이 많은 업계의 경우 인수합병(M&A)을 통해 우량기업 위주로 재편되기 마련이지만, 창투업계의 경우 M&A가 활기를 보이진 않을 전망이다.

업무 특성상 대개 운용중인 투자조합의 규모에 관계없이 10명 안팎의 전문 인력이 회사를 꾸려가고 있는 게 벤처캐피털 업계의 특징이다.

구조조정 위기에 직면해 있는 창투사들의 경우 대부분 부실한 투자조합을 운용하고 있어 M&A를 통해 얻을 만한 효과가 거의 없는 게 사실이다. 인력만 늘어날 뿐 부실조합을 합쳐놓아 봐야 좋을 게 없다는 것.

보스톤창투의 김현우 사장은 "벤처산업이 활성화되려면 투자금의 선순환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며 "따라서 투자조합 결성 여력이 없는 창투사들을 구태여 존속시키도록 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벤처캐피털 업계 특성상 스스로 M&A가 실시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며 "자구책을 강구하거나 M&A를 하려는 창투사들에 대해 정부가 매칭펀드를 구성해주는 등 혜택을 줌으로써 업계의 구조조정을 유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중·소 창투사라 해도 벤처업계에서 수년에 걸쳐 경험을 쌓은 전문 인력들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들의 이동은 활기를 보일 전망이다. 실제 창투업계가 소수 우량업체를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중·소 업체에서 대규모 창투사로 인력 이동이 점차 활기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권해주기자 postman@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벤처캐피털 구조조정 '태풍'...3대 악재 북상중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