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뉴스24 이미영 기자] 하이브가 카카오·SM엔터테인먼트(이하 SM)와 맺은 사업 계약이 'SM의 주주가치를 훼손하는 계약'이라는 기존 주장을 고수했다. 카카오가 SM과의 사업협력 대신 적극 경영에 참여하겠다고 뜻인지 명확한 입장을 밝히라고도 주문했다.
27일 하이브는 "당사의 입장에 곡해가 없길 바란다"라며 "(오늘 카카오 입장이) SM과의 사업적 협력 대신 적극적인 경영 참여를 하겠다는 선언인지에 대한 입장을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하이브, 카카오엔터테인먼트, SM엔터테인먼트 로고 [사진=하이브, 카카오, SM엔터테인먼트]](https://image.inews24.com/v1/39de3b2f04f5cf.jpg)
하이브는 "이번 카카오엔터의 입장 발표는 당사가 제기한 문제점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 않다고 보고 있다"라며 "따라서 당사가 이전에 발표한 입장에 특별한 변화는 없다"고 밝혔다.
또한 "카카오가 경영 참여에 관심이 없다는 전제 하에서 카카오엔터의 사업적 제안 내용이 SM의 사업에 도움이 된다면 충분히 고려할수 있다는 입장 역시 바뀌지 않았다"라며 "당사 입장에 대한 곡해가 없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다만 하이브는 카카오엔터의 입장문에서 "기존 전략의 전면적인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카카오와 긴밀하게 협의해 필요한 모든 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할 예정입니다"는 내용을 문제 삼았다.
하이브는 "카카오엔터는 국내 거대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와 함께 모호한 입장을 지속하는 것 보다는 이 내용이 'SM과의 사업적 협력 대신 적극적인 경영 참여를 하겠다는 선언'인지에 대한 입장을 밝혀주시는 것이 자본시장 참여자들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책임있는 행동이 될 것"이라고 카카오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카카오엔터가 발표한 다음 내용 중에서 오해를 유발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라고 일부 내용을 지적했다.
먼저 하이브는 "카카오엔터가 주장하는 무제한적인 우선협상권은 매우 이례적인 특혜"라며 "만약 이렇게 전체 주주의 이익을 침해할 수 있는 속성의 내용이라면 이사회 의결이 아닌 주주총회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로 카카오엔터 임원의 SM 기타 비상무이사 선임은 그 자체가 이해상충에 해당된다며 "당사는 카카오엔터와 SM간의 계약이 SM의 주주가치를 훼손하고, SM 아티스트들의 권리를 제약하며, SM 구성원분들의 미래를 유한하게 만드는 계약이라고 보고 있으며, SM의 현 경영진들이 본 계약과 관련된 세부적인 의사결정을 모두 중단해 주실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 또한, 본 계약의 적법성을 빠르게 검토 후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카카오는 SM엔터테인먼트와 사업협력 계약과 관련 "3사가 함께 이루어나갈 향후 비전과 방향성을 포괄적으로 담은 계약"이라며 이번 경영권 분쟁 참전을 사실상 공식화 했다.
또한 "3사의 사업협력 계약이 기존 주주의 이익을 훼손한다는 하이브의 주장들은 사실이 아니며, 계약서의 일부 문구를 자사에 유리한 방향으로 왜곡하여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한 하이브 측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하이브는 3사의 사업협력 계약에 대해 지난 21일 카카오와도 협업이 가능하다는 입장에서 24일 돌연 SM엔터테인먼트 경영진에게 본 계약과 관련된 세부적인 의사결정을 모두 중단하라고 입장을 번복했다"며 "또한 하이브 측 인사로만 구성된 이사회 멤버를 추천하며 기존 경영진과 이들이 세운 방향성을 모두 부정하고 있다"고 하이브의 행보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당사는 SM엔터테인먼트와 파트너십의 존속 자체를 위협하고 3사의 중장기 성장 방향성을 근본적으로 침해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더 이상 지켜볼 수만은 없게 됐다"며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카카오와 긴밀하게 협의해 필요한 모든 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할 예정"이라 공식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카카오엔터 역시 하이브와의 전면전을 예고한 가운데 하이브가 맞대응에 나서면서 갈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