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에서 소비자들이 '스마트폰 셀프 수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이처럼 나설 지를 두고 관심이 집중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8월 2일 미국에서 글로벌 온라인 수리업체인 '아이픽스잇'을 통해 '갤럭시' 시리즈 등 일부 제품을 직접 수리할 수 있도록 부품 구입과 수리 가이드라인이 포함된 '셀프 수리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대상은 '갤럭시S20'와 '갤럭시S21' 시리즈, '갤럭시 탭S7+' 모델 등으로, '갤럭시 S21' 기준 액정과 배터리 교체는 약 22만원, 배터리 단일 교체는 약 9만원 수준이다.
또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 특허청에 '셀프 수리 도우미' 앱 관련 특허도 출원했다. 파란색 배경의 아이콘에는 톱니바퀴와 렌치 모양 등이 포함됐다. 상표 출원 문서에는 "셀프 수리 도우미 앱은 스마트워치, 태블릿, 휴대폰, 이어폰의 자체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한 스마트폰용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라고 설명됐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지난해 7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가수리권 보장을 위한 행정명령을 내린 것이 영향이 컸다. '수리권'은 소비자가 스스로 제품을 수리해서 오래 사용할 권리로, 이미 미국은 12개 이상 주에서 소비자의 '수리권'을 지원하는 법률이 통과됐다. 영국 역시 수리권이 이미 법제화됐고, 유럽연합(EU)과 인도 또한 수리권 법제화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이에 경쟁사인 애플도 작년 11월 '셀프 서비스 수리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발표한 후 올해 4월 미국에서 '셀프 서비스 수리 온라인 스토어'를 열었다. 셀프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한국에서도 관련 국제 특허를 출원했으며 현재 심사 중이다. 미국을 시작으로 '셀프 수리' 서비스 대상 국가도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일각에선 삼성전자와 애플 모두 미국에서 '셀프 수리'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에선 별다른 움직임이 없자 양국 소비자에 대해 '차별'하고 있단 지적도 나왔다. 서울환경연합은 수리권 보장 법률 제정과 수리 접근성 강화 등을 골자로 한 서명 운동을 추진했고, 강은미 정의당 의원 등은 지난해 11월 '수리할 권리에 관한 법률안'을 발의했지만 아직 국회에 계류 중이다. 현재 정부 부처와 제조사들은 "자가 수리 시 배터리 폭발 등 위험할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이 법안에 반대하고 있다.
올해 국정 감사에서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 사장은 '왜 미국처럼 삼성 스마트폰의 자가 수리를 할 수 없느냐'는 질문에 대해 "한국과 달리 미국은 대면 수리가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다만 "자가 수리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어 면밀히 검토한 후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현재도 국내에서 '셀프 수리'를 언제 도입할 지 결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자가 수리는 저작권 보호 문제나 보증 유효화 문제, 자가 수리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해 위험성 등이 불거질 수 있다"며 "한국 시장은 제조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센터가 활성화돼 있어 다른 나라와 환경이 다르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