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부가통신사업자 안정성 확보 의무에도 서비스 중단 35건" [2022 국감]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35건 중 13건이 네이버… 카카오 11건

[아이뉴스24 정유림 기자] 네이버·카카오 등 부가통신사업자에 대한 서비스 안정성 확보 의무화 조치 이후에도 해당 사업자의 서비스 중단 건수는 35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무소속)이 26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디지털대전환 시대를 위한 연속 정책토론회1'에서 개회사하고 있는 모습. [사진=안세준 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무소속)이 26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디지털대전환 시대를 위한 연속 정책토론회1'에서 개회사하고 있는 모습. [사진=안세준 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박완주 의원(무소속)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비스 중단 건수 중 네이버가 13건으로 가장 많았고 카카오 11건, 구글 7건, 페이스북 3건(인스타그램 포함), 웨이브 1건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통해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의무화했고 일일 평균 이용자 수와 트래픽 소통량을 기준으로 의무 대상 사업자를 지정해 왔다. 올해 의무 대상 사업자는 구글과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메타플랫폼(구 페이스북), 네이버, 카카오 등 5개 사업자다.

박완주 의원실에 따르면 이번 SK C&C 데이터 센터 화재로 서비스 중단 사태가 발생한 카카오의 경우 2020년 서비스 중단 발생 건수가 3건이었지만 의무화 조치 이후인 2021년 5건, 2022년 6건으로 오히려 늘었다. 네이버 역시 올해에만 서비스 중단 발생 건수가 10건에 달했다.

박완주 의원은 "부가통신사업자의 영향력 증가와 그에 따른 트래픽 과부하로 서비스 안정을 의무화했지만 시행령에도 구체적 조치나 안정성 확보의 기준이 모호해 법 개정 직후에도 우려의 목소리가 잇따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카카오 사태를 교훈 삼아 과기부와 방통위가 이용자 보호 조치 제도를 마련하고 부가통신사업자의 데이터 이중화 등 실질적인 책무를 강화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유림 기자(2yclever@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부가통신사업자 안정성 확보 의무에도 서비스 중단 35건" [2022 국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