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지하 공간 등에 저장하는 이른바 ‘이산화탄소 포집과 저장(Carbon Capture Storage, CCS)’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국내 합동 연구단이 국내 CCS 유망 저장소를 연구한 결과 7억3천만톤을 저장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추가 개발하면 최대 11억6천만톤까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CCS와 관련해 2030년까지 최대 1조4천억 규모의 투자를 추진한다.
CCS는 포집 과정을 거쳐 고농도로 압축된 이산화탄소를 파이프라인이나 선박으로 운반한다. 이어 약 800m 이상 깊이의 폐유전, 대염수층, 가스전 등의 다양한 지층에 반영구적으로 주입해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3일 ‘한국 CO2 저장소 유망구조와 저장용량 종합평가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공식 발표했다.
정부는 올해 4월 국내 전문기관이 대거 참여하는 합동 연구단을 구성해 6개월 동안 자료 분석과 평가 등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최종 결과를 발표하게 된 것이다. 연구단에는 석유공사, 해양과학기술원, 공주대, SK이노베이션 등 20여명이 참여했다.
합동 연구단장인 권이균 교수(공주대 지질환경과학과)는 주제 발표를 통해 국내 CCS 저장 유망구조 도출을 위한 평가 기준 체계와 저장용량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단은 미국 에너지부 기준을 참조해 저장소 규모, 자료 수준, 신뢰도, 평가 목적 등을 고려한 4단계 기술적 평가 기준 체계를 마련했다. 이 중 저장 가능성이 확인된 ‘3단계 유망구조 규모 평가’를 국내 저장 가능 규모 평가의 기준으로 제시했다.
종합평가 결과 연구단은 기술성과 사업추진 여건을 고려한 국내 이산화탄소 저장 유망구조는 약 7억3천만톤 규모로 평가했다. 권 단장은 “평가 결과 도출된 7억3천만톤과 더불어 추가 탐사·시추, 기술개발로 최대 11억6천만톤(연간 3천870만톤)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유망구조 7억3천만톤은 2015년 추정 규모(6억톤)보다 1억3천만톤을 웃도는 평가 결과로 연 2천4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30년 저장 가능한 규모이다. 여기에 기술개발을 통해 저장효율 향상(25%)이 이뤄지면 2억3천만톤 저장 규모가 추가돼 최대 11억6천만톤 저장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강경성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CCS 기술 조기 실현을 위해 관계 부처가 협력해 저장소 확보, 기술개발, 국제협력 등에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2030년까지 최대 1조4천억 규모의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도 CCS 기술개발, 저장소 조기 확보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아직 구체적 기술여건이 성숙하지 않은 데다 저장여건도 만만치 않다. 우리나라 CCS 기술경쟁력은 북미와 유럽 등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돈이 들어가고 누출 가능성도 없지 않다.
/세종=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