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송혜리 기자] "유료방송 콘텐츠 대가 분쟁의 근원적 문제가 결국 시장 재원 부족이고, 낮은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라면, 결국 ARPU를 높이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다. 다만, ARPU를 높이기 위해선 시청자를 제대로 설득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
최근 유료방송 업계 뜨거운 감자인 '콘텐츠 대가 분쟁' 근본적 원인으로 '저가 요금 중심 구조'가 지목되면서, 이의 개선을 위해선 정책·제도 논의와 더불어 시청자와의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홍익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유료방송시장 콘텐츠 거래 합리화 방안'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최근 유료방송시장에선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등의 등장에 따른 급격한 구조 변화로 인해 '합리적인 콘텐츠 이용대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심지어 PP인 CJENM과 IPTV사인 LG유플러스는 대가 지급 갈등으로 소송전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도 시장 질서 확립을 위해 대가산정 가이드라인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이 가운데 열린 이날 세미나는 국내외 유료방송 콘텐츠 거래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합리적 거래구조 마련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시민사회 대표로 참석한 한석현 서울YMCA 시청자시민운동본부 팀장은 콘텐츠 대가 산정 분쟁의 근원적인 문제는 재원의 부족이며, 이의 해결은 ARPU를 높이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한 팀장은 "재원의 여유가 있으면 콘텐츠 대가 산정 시, 갈등 발생과 갈등 빈도의 양상은 달라질 것"이라며 "그러나 방송을 떠난 광고수요는 다시 방송으로 돌아오기 어려워 부족한 재원은 어떤 것으로든 채워야 하는데, 가장 쉬운 것이 요금 인상을 통한 ARPU를 상승시키는 것"라고 설명했다.
다만, 한 팀장은 ARPU를 높이기 이전에 시청자들을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 편의를 강화한 채널 편성과 양질의 콘텐츠로 요금 상승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설득이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솔직히 현재 많은 시청자는 본인이 저가로 유료방송을 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며 "게다가 결합상품으로 2만원, 3만원에 유료방송을 보고 있는데, 100개가 넘는 채널 수 이외에 채널 배치나, 과도한 홈쇼핑 채널 등에 만족하고 있지도 않다"고 지적했다.
또 "그저 뷔페처럼 나열만 되는 채널 배치, 본인이 보고 싶은 채널을 전면에 배치할 수도 없는 이런 서비스는 디지털화와도 거리가 멀다"며 "결국 요금을 내는 만큼 값어치를 제공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팀장은 "시청자를 설득하려면 창작자나, 제작자를 위해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가치를 설명하는 부분, 그리고 채널 배치와 요금제 차별성에 대한 노력과 계획과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