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지금은 기후위기] ‘뒤돌아본’ 지구 50년…‘다가올’ 50년 어떤 그림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NOAA “1970년부터 50년 동안 기상이변 계속”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1970년부터 우주에서 관측한 지구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때부터 50년이 흐른 2020년 지금, 얼마나 달라져 있을까. 앞으로 다가올 50년 뒤인 2070년, 지구는 또 어떻게 변해 있을까.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최근 ‘인공위성이 찍은 50개 지구 사진’을 공개했다. 1970년부터 2020년까지 우주에서 촬영한 이미지 중 상징적 사진 50개를 선별했다. NOAA 측은 “50개 이미지에는 생명 활동, 날씨, 대기와 환경 데이터, 치명적 허리케인, 대형 산불 등 굵직굵직한 사건들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이번 사진을 보면서 역사적 폭풍과 대형 산불, 오존홀 등을 경험했고 그런 기상이변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으로 인공위성 기술이 더 발전하면서 지구를 실시간으로 관측해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어떻게 해결점을 찾아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독 대서양의 허리케인과 관련된 이미지가 많았다. 이는 점점 강력해지고, 파괴적으로 바뀌고 있는 허리케인 양상과 무관치 않다. 폭발적 허리케인이 많이 발생하면서 카리브해는 물론 미국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실제 2020년 대서양에는 30개가 넘는 허리케인이 모습을 드러냈다. 가장 많은 허리케인이 발생한 연도로 기록됐다.

지구 가열화(Heating)로 바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열대성 저기압은 이전보다 더 큰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 때문에 허리케인, 태풍, 사이클론 등 열대성 저기압은 앞으로 더 강력하고, 더 오랫동안 지속하는 흐름으로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산 폭발 이미지도 많이 포함됐다. 화산 폭발은 거대한 화산재는 물론 주변 인명 피해, 생태계 파괴로 이어진다. 최근 화산 폭발이 자주 일어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 또한 기후변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화산이 폭발하면 기후변화에 재영향을 미쳐 이른바 '악순환'이 반복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2019년부터 대형 산불이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했다. 호주는 물론 미국 캘리포니아, 시베리아, 남미 등에서 산불이 일어나면서 큰 상처를 남겼다. 기후변화에 따른 고온건조한 날씨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2020년 시베리아는 섭씨 38도를 기록하는 등 이상 기후에 시달렸다.

A-68 빙산에 대한 이미지도 포함됐다. A-68은 남극에서 최초로 떨어져 나와 현재 바다를 떠돌고 있다. 그 사이 여러 조각으로 부서졌다. 이 중 하나인 A-68a의 모습이 인공위성에 포착됐다. 남대서양에 있는 영국령 사우스조지아섬과 충돌할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다. 남극 빙붕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역시 기후변화 영향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대서양에서는 무려 5개의 허리케인이 동시에 발생하는 모습도 목격됐다. 동시다발적으로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하는 현상도 이어지고 있다. 두 개 폭풍이 함께 일어나 서로 영향을 주는 모습도 확인됐다. 이른바 후지와라 효과이다. 두 개 폭풍이 인접하면서 서로 간섭, 진로와 세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말한다.

자연의 신비로운 모습도 담겼다. 개기일식이 진행될 때 달그림자가 미대륙을 적시는 순간은 경이롭다. 개기일식은 달이 태양 전체를 가리는 현상을 말한다. 불빛만이 반짝이는 미대륙의 밤도 눈길을 끈다. 인공위성 GOES(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정지실용환경위성)가 찍은 지구 앞을 지나는 달, 자외선으로 찍은 태양 등의 사진은 태양계와 지구의 신비로움을 전한다.

46억 년 역사를 거쳐온 지구는 지금도 변하고 있다. 자연적 현상이라기 보다는 인간 활동으로 발생하는 문제여서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히고 있다.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자고 했는데 국제 사회는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

1970~2020년까지 변화된 지구 모습을 되돌아보면서 ‘앞으로 50년’을 어떻게 그려나갈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간에 우리는 서 있다. 미래세대가 꽃길을 걷게 할 것인지, 가시밭길로 내몰 것인지는 지금 세대가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다.

◆1970년부터 2020년, 지구 50년 되돌아보다

▲1970년 4월 22일 ATS-3 위성이 우주에서 찍은 지구. 첫 '지구의 날' 이었다. 지구 환경을 보호하자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세계 기념일이다. [NOAA]
▲1970년 4월 22일 ATS-3 위성이 우주에서 찍은 지구. 첫 '지구의 날' 이었다. 지구 환경을 보호하자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세계 기념일이다. [NOAA]

▲1970년 남반구 바다 온도. 붉을 수록 온도가 높다. 바다 온도는 최근 상승하고 있다. 열대성 저기압에 많은 에너지를 공급해 강력하게 만들고 있다. [NOAA]
▲1970년 남반구 바다 온도. 붉을 수록 온도가 높다. 바다 온도는 최근 상승하고 있다. 열대성 저기압에 많은 에너지를 공급해 강력하게 만들고 있다. [NOAA]

▲1972년 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아그네스'. 뉴욕에 피해를 끼쳤던 아그네스는 일반적 허리케인과 전혀 다른 경로로 움직여 전문가들을 당황스럽게 만들었다. [NOAA]
▲1972년 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아그네스'. 뉴욕에 피해를 끼쳤던 아그네스는 일반적 허리케인과 전혀 다른 경로로 움직여 전문가들을 당황스럽게 만들었다. [NOAA]

▲1974년 미국에는 강력한 토네이도가 발생했다. '슈퍼 아웃브레이크(Super-Outbreak)'라 부른다. 1974년 4월 이틀 동안 약 140개에 이르는 토네이도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깔때기 모양의 매우 강력한 회오리 바람인 토네이도는 미국에서 공포의 대상이다.  [NOAA]
▲1974년 미국에는 강력한 토네이도가 발생했다. '슈퍼 아웃브레이크(Super-Outbreak)'라 부른다. 1974년 4월 이틀 동안 약 140개에 이르는 토네이도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깔때기 모양의 매우 강력한 회오리 바람인 토네이도는 미국에서 공포의 대상이다. [NOAA]

▲1974년 두 개의 허리케인이 동시에 발생했다. 서로 영향을 끼치는 이른바 '후지와라 효과'를 보여준다.  [NOAA]
▲1974년 두 개의 허리케인이 동시에 발생했다. 서로 영향을 끼치는 이른바 '후지와라 효과'를 보여준다. [NOAA]

▲1975년 10월 GOES-1 위성이 발사됐고 우주에서 찍은 첫 번째 지구.  [NOAA]
▲1975년 10월 GOES-1 위성이 발사됐고 우주에서 찍은 첫 번째 지구. [NOAA]

▲1979년 남반구 오존홀. 냉매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 등의 배출로 오존홀이 얇아지면서 구멍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오존층이 얇아지면 자외선이 그대로 대기권을 통과해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NOAA]
▲1979년 남반구 오존홀. 냉매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 등의 배출로 오존홀이 얇아지면서 구멍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오존층이 얇아지면 자외선이 그대로 대기권을 통과해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NOAA]

▲1980년 미국 세인트헬렌스 화산이 폭발했다. 폭발하면서 산을 무너뜨리는 거대한 눈사태가 시작됐다. 가장 강력했던 산사태로 알려져 있다. [NOAA]
▲1980년 미국 세인트헬렌스 화산이 폭발했다. 폭발하면서 산을 무너뜨리는 거대한 눈사태가 시작됐다. 가장 강력했던 산사태로 알려져 있다. [NOAA]

▲1982년 멕시코 엘 치콘 화산이 폭발했다. 약 2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NOAA]
▲1982년 멕시코 엘 치콘 화산이 폭발했다. 약 2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NOAA]

▲1984년 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다이애나는 해당 시즌 가장 강력한 열대성 저기압이었다.  [NOAA]
▲1984년 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다이애나는 해당 시즌 가장 강력한 열대성 저기압이었다. [NOAA]

▲1987년 오존홀.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됐고 1989년 1월 1일부터 발효됐다. 프레온 가스 등의 사용 제한이 마침내 시작됐다.  [NOAA]
▲1987년 오존홀.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됐고 1989년 1월 1일부터 발효됐다. 프레온 가스 등의 사용 제한이 마침내 시작됐다. [NOAA]

▲1988년 발생한 허리케인 길버트. 초강력 카테고리 5등급의 허리케인이었다. 역대 최고 허리케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NOAA]
▲1988년 발생한 허리케인 길버트. 초강력 카테고리 5등급의 허리케인이었다. 역대 최고 허리케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NOAA]

▲1989년 미 대륙을 강타한 허리케인 휴고. 초속 약 72m의 초강풍을 동반했다. [NOAA]
▲1989년 미 대륙을 강타한 허리케인 휴고. 초속 약 72m의 초강풍을 동반했다. [NOAA]

▲1991년 미국에서 이른바 '퍼펙트 스톰(Perfect Storm)'이 발생했다. 초강력 폭풍을 말한다. 영화로도 제작된 바 있다. 지구 가열화가 '퍼펙트 스톰'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NOAA]
▲1991년 미국에서 이른바 '퍼펙트 스톰(Perfect Storm)'이 발생했다. 초강력 폭풍을 말한다. 영화로도 제작된 바 있다. 지구 가열화가 '퍼펙트 스톰'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NOAA]

▲1991년 마닐라 피나투보 화산이 폭발했다. 수십 만 명이 집을 잃었고 수백 명이 사망했다.   [NOAA]
▲1991년 마닐라 피나투보 화산이 폭발했다. 수십 만 명이 집을 잃었고 수백 명이 사망했다. [NOAA]

▲1992년 발생한 허리케인 앤드류는 중심 부근 최대 풍속이 초속 77m에 달했다.   [NOAA]
▲1992년 발생한 허리케인 앤드류는 중심 부근 최대 풍속이 초속 77m에 달했다. [NOAA]

▲1992년 허리케인 '이니키'. 하와이를 강타한 카테고리 4등급으로 강력했다. [NOAA]
▲1992년 허리케인 '이니키'. 하와이를 강타한 카테고리 4등급으로 강력했다. [NOAA]

▲1993년 '세기의 폭풍(Storm of the Century)'이라 부르는 강력한 돌풍이 미국에서 발생했다. 내셔널지오그래피는 이를 책으로 묶어 내기도 했다. 이후 기후 예측과학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했다.  [NOAA]
▲1993년 '세기의 폭풍(Storm of the Century)'이라 부르는 강력한 돌풍이 미국에서 발생했다. 내셔널지오그래피는 이를 책으로 묶어 내기도 했다. 이후 기후 예측과학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했다. [NOAA]

▲1995년 허리케인 오팔은 최대 풍속이 초속 67m를 기록했다.  [NOAA]
▲1995년 허리케인 오팔은 최대 풍속이 초속 67m를 기록했다. [NOAA]

▲1999년 미국에서 강력한 토네이도가 발생했다. 당시 미국 오클라호마주 남서부 도시인 무어에서 시속 486㎞의 토네이도가 만들어졌다. [NOAA]
▲1999년 미국에서 강력한 토네이도가 발생했다. 당시 미국 오클라호마주 남서부 도시인 무어에서 시속 486㎞의 토네이도가 만들어졌다. [NOAA]

▲2003년 발생한 허리케인 이사벨의 눈( Eye). 카테고리 5등급의 초강력 폭풍이었다.  [NOAA]
▲2003년 발생한 허리케인 이사벨의 눈( Eye). 카테고리 5등급의 초강력 폭풍이었다. [NOAA]

▲2004년 미국 플로리다에는 4개의 허리케인이 연이어 강타했다.  [NOAA]
▲2004년 미국 플로리다에는 4개의 허리케인이 연이어 강타했다. [NOAA]

▲2005년 발생한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특히 뉴올리언스에서 피해가 컸다. 사망과 실종 등 인명 피해는 2500여 명에 이르렀다.  [NOAA]
▲2005년 발생한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특히 뉴올리언스에서 피해가 컸다. 사망과 실종 등 인명 피해는 2500여 명에 이르렀다. [NOAA]

▲2011년 '슈퍼 아웃브레이크' 토네이도. 2011년 4월 25일부터 28일까지 미국 남부, 중서부, 북동부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NOAA]
▲2011년 '슈퍼 아웃브레이크' 토네이도. 2011년 4월 25일부터 28일까지 미국 남부, 중서부, 북동부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NOAA]

▲2012년 강력한 모래폭풍이 미국 북동부를 강타했다.   [NOAA]
▲2012년 강력한 모래폭풍이 미국 북동부를 강타했다. [NOAA]

▲밤은 불빛의 다른 말일까. 밤이 깊을수록 불빛은 더 빛난다. 2012년 우주에서 본 미대륙의 밤이다.   [NOAA]
▲밤은 불빛의 다른 말일까. 밤이 깊을수록 불빛은 더 빛난다. 2012년 우주에서 본 미대륙의 밤이다. [NOAA]

▲2014년 GOES 위성이 관측한 미국 겨울 폭풍. 보스턴에는 기록적 폭설이 내렸고 수십 년 만에 가장 강력한 추위가 미국 본토를 강타했다. [NOAA]
▲2014년 GOES 위성이 관측한 미국 겨울 폭풍. 보스턴에는 기록적 폭설이 내렸고 수십 년 만에 가장 강력한 추위가 미국 본토를 강타했다. [NOAA]

▲2015년 인공위성이 관측한 북극광. 이른바 '오로라'이다. [NOAA]
▲2015년 인공위성이 관측한 북극광. 이른바 '오로라'이다. [NOAA]

▲2015년 심우주기후관측 위성이 찍은 달. 달 뒤편으로 지구가 보인다. [NOAA]
▲2015년 심우주기후관측 위성이 찍은 달. 달 뒤편으로 지구가 보인다. [NOAA]

▲2016년 미국 알래스카 파블로프 화산이 폭발했다. 당시 화산재가 7000m 상공까지 치솟으면서 항공기 운항에 큰 차질이 빚어졌다. [NOAA]
▲2016년 미국 알래스카 파블로프 화산이 폭발했다. 당시 화산재가 7000m 상공까지 치솟으면서 항공기 운항에 큰 차질이 빚어졌다. [NOAA]

▲2017년 GOES 위성이 찍은 달. 푸른 지구와 한 몸처럼 정답게 자리잡고 있다. [NOAA]
▲2017년 GOES 위성이 찍은 달. 푸른 지구와 한 몸처럼 정답게 자리잡고 있다. [NOAA]

▲2017년 SUVI(Solar Ultraviolet Image)가 찍은 태양. 자외선으로 촬영한 것이다. [NOAA]
▲2017년 SUVI(Solar Ultraviolet Image)가 찍은 태양. 자외선으로 촬영한 것이다. [NOAA]

▲2017년 개기일식으로 달그림자가 미국을 적시고 있다. 2021년 몇 차례 개기일식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NOAA]
▲2017년 개기일식으로 달그림자가 미국을 적시고 있다. 2021년 몇 차례 개기일식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NOAA]

▲2017년 미국에서 텍사스 크기에 맞먹는 먼지 폭풍이 일었다. 텍사스 전체가 큰 고통을 받았다. [NOAA]
▲2017년 미국에서 텍사스 크기에 맞먹는 먼지 폭풍이 일었다. 텍사스 전체가 큰 고통을 받았다. [NOAA]

▲2017년 발광감지장치(GLM)가 찍은 번개. [NOAA]
▲2017년 발광감지장치(GLM)가 찍은 번개. [NOAA]

▲2017년 전 세계 해양의 엽록소 분포. 엽록소는 식물이 광합성 할 때 빛을 흡수하는 색소이다. 식물 플랑크톤 세포에 가장 많이 있다. [NOAA]
▲2017년 전 세계 해양의 엽록소 분포. 엽록소는 식물이 광합성 할 때 빛을 흡수하는 색소이다. 식물 플랑크톤 세포에 가장 많이 있다. [NOAA]

▲2017년 미국에 하비와 어마 등 초강력 허리케인이 미국을 휩쓸면서 곳곳에서 홍수가 발생했다.  [NOAA]
▲2017년 미국에 하비와 어마 등 초강력 허리케인이 미국을 휩쓸면서 곳곳에서 홍수가 발생했다. [NOAA]

▲2018년 GOES-16 위성이 자신의 후임자인 GOES-17 위성 발사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NOAA]
▲2018년 GOES-16 위성이 자신의 후임자인 GOES-17 위성 발사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NOAA]

▲2018년 10월 31일 브라질 남부 하늘에서 번개 하나가 보스턴과 워싱턴 DC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약 709km에 걸쳐 뻗어 나갔다. 지금까지 세계 기록이다.  [NOAA]
▲2018년 10월 31일 브라질 남부 하늘에서 번개 하나가 보스턴과 워싱턴 DC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약 709km에 걸쳐 뻗어 나갔다. 지금까지 세계 기록이다. [NOAA]

▲2019년 러시아령 쿠릴 열도 라이코케(Raikoke) 화산이 폭발했다.  [NOAA]
▲2019년 러시아령 쿠릴 열도 라이코케(Raikoke) 화산이 폭발했다. [NOAA]

▲2019년 태평양 북서부에서 발생한 강력한 사이클론이 위성에 포착됐다. [NOAA]
▲2019년 태평양 북서부에서 발생한 강력한 사이클론이 위성에 포착됐다. [NOAA]

▲2019년 발생한 허리케인 도리안은 카리브해 섬나라 바하마를 휩쓸었다. 1만3000여 채의 집이 파괴되는 등 피해가 컸다. [NOAA]
▲2019년 발생한 허리케인 도리안은 카리브해 섬나라 바하마를 휩쓸었다. 1만3000여 채의 집이 파괴되는 등 피해가 컸다. [NOAA]

▲2019년 호주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우주에서도 확인이 될 정도였다.  [NOAA]
▲2019년 호주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우주에서도 확인이 될 정도였다. [NOAA]

▲2020년 인공위성이 대서양에서 발생한 5개의 열대성 폭풍을 촬영했다.  [NOAA]
▲2020년 인공위성이 대서양에서 발생한 5개의 열대성 폭풍을 촬영했다. [NOAA]

▲A-68은 남극에서 최초로 떨어져 나와 현재 바다를 떠돌고 있다. 그 사이 여러 조각으로 부서졌다. 이 중 하나인 A-68a의 모습이 인공위성에 포착됐다. 남대서양에 있는 영국령 사우스조지아섬과 충돌할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다. [NOAA]
▲A-68은 남극에서 최초로 떨어져 나와 현재 바다를 떠돌고 있다. 그 사이 여러 조각으로 부서졌다. 이 중 하나인 A-68a의 모습이 인공위성에 포착됐다. 남대서양에 있는 영국령 사우스조지아섬과 충돌할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다. [NOAA]

▲2020년 촬영한 미국 뉴욕시의 밤.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야간조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NOAA]
▲2020년 촬영한 미국 뉴욕시의 밤.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야간조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NOAA]

▲2020년 발생한 사하라 먼지 폭풍. 이 먼지 폭풍은 수천 km 떨어진 남미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NOAA]
▲2020년 발생한 사하라 먼지 폭풍. 이 먼지 폭풍은 수천 km 떨어진 남미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NOAA]

▲구름은 전 세계를 돌면서 다양한 모양을 만든다. 이중 '본 카르만 소용돌이'는 특히 눈에 띈다. 물체가 앞으로 나아갈 때 공기 등과 부딪히면 양옆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대기는 장애물을 만나면 그 흐름과 방향이 바뀌는 유체이다. 유체 흐름이 방해받으면 언제든 '본 카르만 소용돌이'가 만들어질 수 있다.  [NOAA]
▲구름은 전 세계를 돌면서 다양한 모양을 만든다. 이중 '본 카르만 소용돌이'는 특히 눈에 띈다. 물체가 앞으로 나아갈 때 공기 등과 부딪히면 양옆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대기는 장애물을 만나면 그 흐름과 방향이 바뀌는 유체이다. 유체 흐름이 방해받으면 언제든 '본 카르만 소용돌이'가 만들어질 수 있다. [NOAA]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고온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대형산물이 많이 발생했다. [NOAA]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고온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대형산물이 많이 발생했다. [NOAA]

카테고리 4등급의 로라는 최대 풍속 시속 241km로 루이지애나 남서부 지역에 큰 피해가 발생했다. 생방송을 하던 방송기자가 대피할 정도로 위력이 강했다.   [NOAA]
카테고리 4등급의 로라는 최대 풍속 시속 241km로 루이지애나 남서부 지역에 큰 피해가 발생했다. 생방송을 하던 방송기자가 대피할 정도로 위력이 강했다. [NOAA]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지금은 기후위기] ‘뒤돌아본’ 지구 50년…‘다가올’ 50년 어떤 그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