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한국의 5G 성과는 전 세계적으로 특별하다. 한국을 제외하고는 높은 속도를 낼 수 있는 3.5GHz 중대역에서 전국적인 규모의 커버리지를 갖춘 경우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없다."
알렉스 최 도이치텔레콤 부사장은 23일 SK텔레콤이 국내외 생태계 및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5G 기술현황과 비전을 공유하는 '5G 기술 세미나'에 나서 한국의 5G 기술이 전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세미나는 '현재와 미래를 위한 5G 기술(5G Technologies for Today & Tomorrow)'을 주제로, 5G 기술 및 상용화 현황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지속 선도해 가야할 5G 비전과 계획을 함께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총 6개 주제 발표 및 1개 패널 토의로 이루어졌으며,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언택트 기조에 맞춰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글로벌 5G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의 5G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를 풀어내기 위한 논의가 이어졌다.
알렉스 최 부사장을 비롯해 로스 오브라이언 MIT 테크놀로지 리뷰 편집장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와 LG전자도 현재 5G 표준 동향과 이후 정의내려질 6G에 대해 설명했다.
로스 오브라이언 편집장은 "5G를 통한 신성장 매출이 전 세계적으로 연간 1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국이 5G 고유의 가치를 제공하며 진정한 5G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어 주목된다"며, "한국은 3.5GHz 도입으로 속도와 커버리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한편, 5G 기술 진화 및 생태계도 잘 선도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같은 찬사는 해외 대부분의 사업자들은 28GHz과 같은 고대역 주파수나 3.5GHz와 같은 중대역 주파수를 선택해 부분적 투자를 하는 경우 5G 커버리지 확보가 어렵고, 저대역 기반으로 커버리지를 넓힌 경우에는 LTE 와 5G의 속도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한국 5G는 3.5GHz 주파수를 기반으로 집중적인 투자를 시행해 속도 및 커버리지에서 해외 대비 상대적으로 월등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 해외 통신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 5G 진화발전 중…전국망 28GHz SA 등 할일이 더 많다
SK텔레콤에서는 박종관 5GX기술그룹장, 류정환 5GX 인프라그룹장, 이강원 5GX 클리아두 랩장이 국내 5G 기술 개발 현황 및 계획을 소개했다.
박종관 그룹장은 5G 표준과 관련해 "SKT는 글로벌 통신 사업자 및 장비/단말 제조사들과 지속적인 협력은 물론 3GPP 표준화 회의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5G 상용화 표준 선도 및 관련 기술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모바일에지컴퓨팅(MEC) 분야와 관련해서는 아태 통신사 연합회 '브리지 얼라이언스' 소속 통신사들과 함께 '글로벌 MEC TF'를 발족, 5G MEC분야에서 글로벌 초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양자보안 분야에서는 관련 생태계를 선도하기 위해 대표적인 글로벌 표준화 기구인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에서 표준화를 선도하고,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에서도 글로벌 사업자들과 양자암호통신 확산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5G 품질을 높이기 위한 그간의 노력도 공유했다.
박종관 그룹장은 ▲5G와 LTE를 결합해 속도를 높이는'EN-DC' 기술 ▲작년 8월 세계 최초로 개발해 구축하고 있는 5G 인빌딩 전용 장비인 '레이어 스플리터' ▲실외 기지국의 5G 및 LTE 전파를 닿기 어려운 실내로 증폭·확산시켜 커버리지를 넓히는 장비인 '5G/4G 듀얼 모드 RF 중계기' ▲AI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탱고(TANGO)' 솔루션 등 다양한 기술들에 대해 발표했다.
향후에는 3.5GHz 대역 기반 비단독모드(NSA) 방식을 중심으로 커버리지를 확대하면서 올해 상반기 확보한 28GHz 대역 및 단독모드(SA) 기술을 통해 개별 서비스 특성에 맞는 최적의 네트워크를 제공할 계획이다.
류정환 그룹장은 "28GHz 및 SA는 전파 특성, 기술 방식 등을 고려할 때 속도, 안정성 및 체감 품질 면에서 B2B 특화 서비스에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28GHz 주파수는 전파 특성 상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손실 영향이 커서 서비스 커버리지가 3.5GHz 대비 10~15% 수준이기 때문에 B2B 중심의 활용이 적합하다는 것.
류 그룹장은 "SA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지원하는 등 5G 특성에 잘 맞는 방식이나, 초기 단계에는 LTE와 결합해 빠른 속도를 내는 현재 NSA 방식의 장점이 있으므로 28GHz와 마찬가지로 B2B 중심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지난 7월 5G SA 표준인 '릴리즈(Release) 16'가 확정되며 5G 진화 설계도가 마련된 만큼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5G B2B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하는 게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와 함께 산업 생태계 및 학계에서도 다양한 논의가 나왔다. 국제 5G 표준화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삼성전자 이주호 펠로우와 LG전자 윤영우 수석연구위원은 이동통신 진화 및 5G 표준화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이들은 한국이 5G 표준에서 정의한 기술의 상용화 및 확대를 선도하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하며, 표준 기술 또한 진화를 거듭하므로 한국이 5G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생태계 협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패널 토의 시간에는 경희대 홍인기 교수 사회로, 연세대 김동구 교수, 삼성전자 이주호 펠로우, ETRI 김일규 본부장, 박종관 5GX기술그룹장이 5G 기술의 현재를 진단하고, 나아가 미래에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김윤 SK텔레콤 CTO는 "5G '세계 최초'를 넘어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차원에서 향후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고자 국내외 전문가를 모시고 세미나를 개최했다"며, "5G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확산과 디지털 뉴딜에 있어 핵심 인프라인 만큼 품질 및 기술 진화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5G·AI, Cloud가 만나는 새로운 서비스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정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문기 기자 moo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