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도민선 기자] 정부의 시장 활성화 방안이나 시장 재편이 가속되면서 알뜰폰(MVNO)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일고 있다.
그러나 정부나 통신사 지원과 별개로 알뜰폰 업계의 자생력 마련 등 경쟁력 확보는 여전한 과제로 꼽힌다.
망 임대 등에 따른 도매대가, 재판매 등에 따른 가격경쟁력, 수익성 확보의 한계가 분명한 상황에서 이를 돌파할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정부는 통신사를 통해 해다마 알뜰폰 도매대가를 낮춰왔지만 알뜰폰 업계의 체감 효과는 항상 기대에 못미쳤다.
◆도매대가 인하로는 '한계'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인하분이 부족하다." "이통사가 낸 신규요금제가 도매제공이 되지 않았다."
매년 이맘때쯤 정부의 도매대가 인하 발표가 있을때마다 나오는 알뜰폰 업계의 대체적 반응이다.
알뜰폰의 도매대가를 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음성통화나 문자메시지, 데이터의 단위요율을 정해 도매제공하는 종량제, 다른 하나는 이통사가 판매하는 요금제를 거의 그대로 재판매하는 소매가할인 방식(retail-minus)이다.
소매가할인 방식의 대표적인 계산법은 '수익배분방식(RS)'이다. 수익배분방식은 무제한 데이터 이용 등으로 정액요율 적용이 힘든 LTE 데이터중심요금제부터 본격 적용됐다.
이달 말 판매를 시작할 알뜰폰 5세대 통신(5G) 요금제 역시 이 방식이 유력하다. 하지만 이 도매대가 산정 방식은 알뜰폰사업자가 결국 이통사의 요금제 설계에 종속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놓은 알뜰폰 활성화 계획에도 5G 도매제공 의무화를 비롯해, 도매대가 인하, 신규 LTE 요금제 도매제공 등이 담겼다. 나름 의미있는 대책이 나왔다는 평가지만 경쟁력 있는 상품 개발, 수익성 개선 등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가령 이번 대책으로 알뜰폰 사업자에 도매제공되는 SK텔레콤의 'T플랜' LTE 요금제는 종전 1종에서 4종으로 늘었다. 그만큼 선택권이 확대됐다는 뜻이다.
다만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이통사 판매시 월 6만9천원, 100GB 기본 제공 후 5Mbps 속도 제한)의 경우 SK텔레콤의 몫인 수익배분율이 62.5%에 달했다.
알뜰폰 사업자가 이 요금제를 판매하려면 도매대가로만 4만3천125원을 지출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통사 고객이 월 25% 선택약정할인을 받을 경우 알뜰폰과의 가격 차이가 채 1만원도 나지 않아 결국 알뜰폰의 가격경쟁력은 사라지는 셈이다. 더욱이 가족결합까지 받는다면 이통사 요금제가 알뜰폰보다 더 저렴할 수 있다.
더욱이 지금까지 도매제공되는 LTE 요금제의 최고 수익배분율은 55% 수준이었으나 이번에 60%대까지 올라갔다. 이통사의 인기 요금제가 알뜰폰에서 출시되더라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란 여전히 쉽지 않은 셈이다.
그렇다고 이통사의 도매대가를 계속 낮추라 요구하기도 쉽지않은 상황. 도매대가 협상은 정부가 주도해 진행해도, 수익배분방식 요금제의 경우 정부가 협상 대상자가 아니어서 인하를 강제할 수 없다.
더욱이 이통사 역시 선택약정할인 확대, 보편요금제 수준의 저가 요금제 출시 등 요금 인하 압박이 거세지면서 영업이익 등 수익성이 날로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알뜰폰 경쟁력 확보 위해 MVNE 등 대안 '주목'
알뜰폰이 가격경쟁력에서 우위에 확보하지 못하면 이통사로 가입자가 이탈하는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없다. 실제로 올들어 이통사의 저렴한 데이터 요금제 확대 및 5G 상용화로 알뜰폰 가입자 감소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통사로 서비스를 옮기는 경우가 늘어난 탓이다.
따라서 알뜰폰 활성화를 위해서는 업계 스스로 경쟁력 있는 요금상품 등을 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 일환으로 현재의 도매대가 산정 체계를 근본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와 관련 알뜰통신사업자협회는 "접속료를 기반으로 도매대가를 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정 설비를 갖춘 알뜰폰 사업자가 시장에 진입해 이통사와 알뜰폰 사업자의 중간에서 과금시스템, 단말기 수급 등 MVNO 사업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의 사업모델도 대안으로 꼽힌다. 이 사업자를 MVNE(Mobile Virtual Network Enabler) 또는 풀MVNO라 한다.
MVNE는 스마트폰 등 개인 요금상품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등 기업시장(B2B) 영역으로 알뜰폰 업계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유통이나 물류, 건설, 제조업 등 비통신사업분야에서 이동통신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 가능성이 있는 것.
일본 등 해외시장에서는 이미 다수의 MVNE사업자가 존재한다. 알뜰통신사업자협회에 따르면 2017년 조사 기준 일본의 경우 MVNE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2차 MVNO 사업자'가 전체의 53.8%에 달한다. 이 중 가입자가 3만명 이상인 사업자도 18개에 달했다.
하지만 한국형 MVNE 등장은 아직 가능성만 거론되는 수준이다. 당장 수백억원대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알뜰폰 업계는 보고 있다. 투자 여력 확보 등이 선결돼야 하는 셈이다. 대신 별도의 제도적 걸림돌은 없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2010년 국내 도매제공 제도가 수립될 때부터 풀MVNO 또는 MVNE의 등장을 가로막는 규제는 없다"며, "다만 아직까지 정부에 사업 진출 의사를 공식적으로 전달한 사업자는 없다"고 말했다.
도민선 기자 domingo@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