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문영수, 민혜정, 도민선 기자] 일본이 우리 정부를 상대로 반도체 등 일부 핵심 부품 수출을 막는 등 사실상의 경제 보복에 나서면서 여파가 어디까지 확산될 지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이 확산되는 등 파장이 커지는 분위기. 국내 게임 및 인터넷 포털, 통신 등 서비스 중심 IT 기업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본의 수출 규제가 국내 핵심 산업인 반도체를 정조준하고 있어 당장은 미칠 악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양국 간 냉기류가 장기화될 경우 일본 시장 진출이나 주요 기업과의 제휴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9일 인터넷포털 업계는 온라인 서비스나 콘텐츠가 주 사업 영역인 만큼 아직까지 이번 한일 갈등에 따른 큰 영향이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한·일 관계가 악화될 경우 일본 현지 혐한 정서가 커지거나 일본 정부의 인가가 필요한 금융서비스와 같은 사업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네이버나 카카오의 경우 일본내에서 주요 서비스를 하거나 신사업을 진행중인 상황이다.
실제로 네이버 자회사 일본 라인이 운영하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은 월 이용자만 8천만명에 달할 정도로 일본에서는 국내 카카오톡과 같은 위상을 갖고 있다.
라인은 최근 간편결제 서비스인 라인페이, 인터넷전문은행 등 핀테크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카카오 역시 일본에서 만화 플랫폼 '픽코마'가 지난해 일본 iOS와 구글플레이 만화앱 통합 다운로드 1위에 오르는 등 콘텐츠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동영상,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사업으로도 영역을 확장 중이었다.
네이버 관계자는 "일단 제조업 겨냥 규제여서 큰 영향을 없을 것으로 본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카카오 역시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는 있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업계 관계자는 "아직 큰 영향이 없지만 양국 갈등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단할 수 없어 조심스러운 것은 사실"이라며 "이른 시일 내에 잘 해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내 통신사들 역시 서비스 등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주요 일본 통신사 등과 협력 등 관계를 가져가고 있어 향후 협력 관계 위축 등까지 여파가 튈 지 주목하는 상황.
SK텔레콤을 비롯한 국내 통신사들은 일본 NTT도코모 등과 5세대 통신(5G) 등 여러 분야에서 기술제휴 등 협력하고 있다.
또 KT 의 경우 NTT도코모가 단순 투자로 지분 5.46%(1분기 기준)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 LG유플러스는 다른 통신사인 KDDI와 스마트드론 사업 등에서 협력하고 있다. 다만 구체적인 계약체결 등이 이뤄진 것은 아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사태가 발생한 뒤 계열사 거래 등을 점검했다"며 "현재까지 양국 간 갈등 등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게임업계 역시 일단은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다. 일본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게임이 국내 다수 서비스되고 있고,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서는 국내 업체들이 많기 때문.
다만 문화산업이라는 특성상 이번 보복 조치에 따른 직접적 파장은 적을 것으로 예측하는 모습이다. 허가권인 '판호'라는 진입 장벽이 존재하는 중국과 달리 일본은 제약 없이 게임을 출시할 수 있다는 점도 차이다.
한 대형 게임사 관계자는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특별한 이용자 동향이 크지는 않은 상황"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 사태가 이어질 때는 영향이 있을 수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일본 오리콘 주간차트 정상에 오른 한류 그룹 '방탄소년단(BTS)'을 예로 들며 "문화 콘텐츠는 반도체 등 기간산업과 달리 대체 수단이 마땅치 않다"며 "게임 등 문화산업은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게임이 주를 이루는 콘솔 게임 관련 업체 관계자는 "일부 커뮤니티에서 불매 운동이 일어나 우려가 되고 있다"면서도 "게임 분야는 반도체 등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한국 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 등을 이유로 지난 1일 한국에 대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패널 핵심 소재 3종류의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첨단 소재 등의 수출 절차에서 번거로운 허가 신청과 심사를 받게 돼 적잖은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장기화될 경우 일본의 제재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청와대와 정부는 일본의 이같은 제제가 WTO 규범과 국제법을 위반했다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문영수 기자 mj@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