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LG화학이 생산한 배터리셀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를 일으킬 결함이 발견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LG화학 측은 문제가 확인된 일부 부분에 대해 이미 개선 조치를 끝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향후 화재피해를 놓고 책임공방이 이뤄질 전망이어서 시장 내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가 실시한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위는 화재사고 원인을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추정했다.
특히 조사위는 배터리 결함 자체도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조사위는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을 발견하였으나, 이러한 결함을 모사한 실증에서 화재가 발생하진 않았다"면서도 "제조결함이 있는 배터리가 가혹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되면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사위는 다수의 폭발 사고가 LG화학이 비슷한 시기에 생산한 배터리라는 점을 확인, 배터리 셀에서 극판접힘, 절단불량 등의 제조결함까지 파악했다. 하지만 조사위의 수차례 화재 실험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화재를 일으킬 '간접적'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제조결함이 확인된 LG화학 배터리셀은 2017년 초기 제품이다. 2017년 8월 이후 일어난 ESS 화재 사고 23건 중 LG화학 배터리셀이 쓰인 사업장은 12곳, 삼성SDI가 8곳, 기타 제품은 3곳으로 알려졌다. 조사위가 LG화학의 배터리 결함을 거론하면서 ESS화재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됐다.
정부 역시 ESS 화재에 대한 책임 소재를 놓고 대형 배터리 제조사에 1차적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박정욱 산업부 제품안전정책국장은 "배터리 시스템 전체는 제조사가 총괄책임을 져야한다"며 "배터리 제조사의 배터리 시스템화 과정에서 미흡한 점 등이 발견되면 제조사가 일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LG화학 측은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LG화학 측 관계자는 "2017년 초기 제품으로 안전에 영향을 줄 이슈는 아니었으나 일부 결함이 발생한 적 있다"면서도 "공정 및 설계 개선, 검사 공정 등을 강화해 모두 개선 조치하였으며 현재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LG화학 측은 "개선 사항에 대해서는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에도 공유했으며 선행적인 안전관리 차원에서 모든 사이트 점검을 통해 잠재불량군에 대해서도 선별교체를 완료했고 향후 LG화학은 배터리가 안전관리 의무 대상으로 지정되는 만큼 모든 안전사항을 철저히 준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