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풀 앱 풀러스가 실적 악화로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O2O(온오프라인연계) 업계도 축 처진 분위기다.
풀러스의 고난을 모두 규제 탓으로 돌리긴 어렵지만 영업시간을 제한하는 규제가 서비스 확대에 걸림돌이 됐던 건 사실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만나 본 O2O 업계 관계자들은 규제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일관성 없는 정책이라고 입을 모았다.
업계 관계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가면 혁신 모델이 됐다가, 중소벤처기업부를 가면 갑질하는 수수료 장사꾼이 된다"며 "심지어 중기부 내에서도 벤처기업 관련 부서를 가면 과기부에서와 같은 소리를 듣는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모르겠다"며 "물론 규제를 안받는 게 좋겠지만 받더라도 일관성있는 정책 방향을 알고 싶다"고 꼬집었다.
O2O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업이 연계돼 있다. 주로 숙박 예약, 음식 배달 서비스, 카풀·택시 호출 플랫폼 사업을 한다. 점주와 소비자를 잇는 플랫폼 사업자다. 수익모델은 수수료나 상품 노출도에 따라 차등을 두는 광고인 경우가 많다.
이에따라 O2O 사업자는 오프라인 상점주나 택시 업계 등과 부딪힐 일이 많다. 모바일에 기반한 서비스라 수익 모델을 도입하면 카카오 택시 유료화 사례처럼 '황소개구리'라는 비난을 들어야 한다.
물론 O2O가 플랫폼 지위를 악용해 수수료나 광고비로 폭리를 취한다면 규제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대다수 O2O 서비스는 사기업 소산이고 이윤을 남겨야 지속될 수 있다. 돈을 받는 다는 자체만으로 화살 받이가 되어선 안된다고 본다.
정부는 이같은 상황에서 갈팡질팡하다 선거철이되면 득표 수에 도움 되는 진영을 저울질한다.
정부 관계자는 "O2O 규제는 부처마다 입장이 다르다보니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게 사실"이라며 "국회에서도 마찬가지다보니 거시적인 그림이 잘 안나온다"고 말했다.
이쯤되니 스타트업 업계에선 기술력 있는 엔지니어보다 연줄 많은 '금수저'가 필요하다는 하소연도 나온다. 국회나 부처를 드나들며 규제 걸림돌을 치울 수 있는 '대관' 능력이 기술 개발력보다 중요하다는 얘기다.
이같은 현실에서 청년들에게 혁신적인 창업을 주문할 수 있을까. 흙수저가 벤처 신화를 쓸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지 못했다는 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주재하기로 했던 규제혁신 점검회의가 연기됐다. 규제 혁신 폭을 넗히고 속도감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한다. O2O는 '카카오택시', '배달의민족' 처럼 일상 앱이 돼 버린 서비스가 많다. 더 이상 논의 후 순위로 밀릴 수 없다. 이참에 회의 테이블 위에 꼭 올라가야 한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