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뉴스24 김정수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1일 국회와 정부, 재계에 ‘팀코리아’로 관세전쟁에 대응할 것으로 제안하고 나섰다.
김 지사는 이날 평택항 동부두에서 열린 민관합동 비상경제회의에서 “국익 앞에 여야는 없어야 한다. 모든 지혜와 힘을 모으자”며 이같이 제안한 것.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경제만큼은 여·야·정부, 기업들이 원팀으로 똘똘 뭉쳐야 한다. 막판까지 관세 면제, 유예를 끌어낼 수 있도록 협상에 사력을 다해야 한다”면서 “지금이라도 ‘경제 전권대사’를 임명하고 관세 문제를 비롯한 대외 경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자”고 호소했다.
미 트럼프 행정부는 완성차의 경우 다음달 3일, 자동차 부품의 경우 5월 3일 이전 25%의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태다.
도는 대응책 마련을 추진 중인데, 자동차 산업의 집적도가 높아 도 차원의 긴급 대응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도는 지난 10일 150여 개 국내 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북미 자동차 산업의 거점인 미국 조지아주에 ‘대미 통상환경조사단’을 조지아주에 파견해 현지 우리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주정부 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달 3일 자신의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트럼프 2기 비상 대응체제’ 즉시 가동과 함께 ▲여·야·정 합의로 ‘경제전권대사’ 조속히 임명 ▲수출방파제 구축 ▲신속한 ‘추경편성’ 등 3가지를 정부와 정치권에 촉구한 바 있다.
이후 도는 지난 10~15일 미국 조지아주에 통상환경조사단을 파견해 조지아 주정부 경제개발부 관계자와 만나 경기도 자동차 부품 기업에 관심과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코트라 애틀란타 무역관장, 서배나 경제개발청 최고운영책임자 등과 기업 지원 정책을 협의하기도 했다.
오는 6월에는 도내 자동차 부품 기업들을 현지에 파견하고 맞춤형 컨설팅 등을 통해 수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 지사는 “미국이 자국 내 생산 확대를 강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부품업체를 비롯한 중소, 중견기업의 큰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경기도는 자동차 분야 관세 피해 중소기업에 500억 원 규모의 긴급특별경영자금을 지원하겠다. 장기적으로 일자리 감소나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해 면밀한 대책을 수립해 나가겠다”는 제시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