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배정화 기자] 제주시 삼양동에 추가로 건설될 예정인 가스발전소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연간 110만 톤 이상 탄소 배출되는 것으로 분석돼 시민단체가 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제주녹색당,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 등 제주시민 단체는 25일 자료를 내고 "제주도가 진정으로 2035년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가스발전소 한 기를 줄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복합 3호기 건설사업 기후변화영향평가서에 따르면, 해당 시설이 운영될 경우 연간 19만3771톤의 가스를 사용하게 돼 이에 따른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이 53만7503톤 CO₂eq에 달한다.
여기에 동복리 가스발전소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합치면 연간 110만 톤 CO₂eq에 이르는 막대한 양이 추가로 배출된다.
시민단체는 "온실가스의 막대한 배출도 문제지만, 이번 가스발전소 건설의 명분과 목표들 역시 상식 이하의 주장들로 가득 차 있다"며 "가장 실소를 금할 수 없는 것은 가스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는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또 "삼양동에 들어설 가스발전소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거의 50% 가까이 줄이겠다고 밝히고 있다"면서 "그런데 해당 시설은 지금 착공해도 2028년에나 가동이 가능한데, 겨우 2년 만에 그 절반 가까이를 감축하겠다는 계획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중부발전 측은 사업의 기대효과로 ‘가스가 청정연료이기 때문에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 초안에는 가동 시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오존(O₃) 등의 농도가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는 중부발전의 주장은 "대기오염 저감 효과는 석유나 석탄 등 고오염 에너지원을 대체할 때에 한정되는 얘기"라며 기만적이라고 일축했다.
이들은 삼양동의 경우 "기존 바이오중유 및 중유 발전소는 계속 운영될 예정이며, 이 가스발전소가 그것을 대체하지도 않는다. 결국 기존 대비 오히려 더 많은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되는데도 마치 환경을 개선하는 것처럼 기대효과를 내세우는 것"이라며 "화북동, 삼양동, 조천읍 등 인근 주민들의 건강을 고려하기는커녕, 혹시 모를 반발을 미연에 차단하려는 의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특히 더 놀라운 점은 "이번 사업이 정부의 노후 석탄발전소 퇴출 계획에 따라 추진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석탄발전소는 제주도에 존재하지도 않는다"며 "기존 중유 발전소 조차 퇴출하지 못한 상황에 전력 사정이 좋은 제주도에서 석탄발전소를 대체할 가스발전소를 짓겠다는 말은 납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는 가스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해야 하는 타당한 답을 해야 한다. 이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면, 지금이라도 발전소 건설을 멈춰야 한다"며 "제주도의 미래와 미래세대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살아갈 제주를 위해, 제주도가 어리석은 결정을 내리지 않기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