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정민 기자] 정부의 '의대생 3월 복귀' 방침 이후 의대생 97%가 복학한 가운데, 실제 수업 참여율은 3%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1일 인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강의실이 불 꺼진 채 텅 비어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e644efe6eb2ea8.jpg)
의대생 단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이하 의대협)'은 2일 보도자료를 내고 회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15개 의대 재학생 6571명 중 실제 수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은 3.87%(254명)에 그쳤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전국 40개 의대 중 우선 취합된 15개 의대의 수강률(수업 참여율)을 조사했다고 밝혔으며, 15개 의대 재학생 80∼90%가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조사에 따르면 수강률이 가장 낮은 학교는 가천대로 245명 중 1명(0.41%)만 수업에 복귀했다. 이어 △한림대(0.64%) △고려대(1.57%) △순천향대(2.01%) △아주대(2.12%) △동아대(3.49%) △충남대(3.65%) △연세대 미래캠퍼스(3.79%) △가톨릭대(3.93%) △이화여대(4.89%) △조선대(5.35%) △연세대(5.65%) △한양대(5.89%) △성균관대(5.99%) △울산대(9.49%) 순으로 집계됐다.
의대협은 각 의대 학생회장(대의원)과 긴밀하게 논의한 결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투쟁'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1일 인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강의실이 불 꺼진 채 텅 비어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c1f62ca104b07a.jpg)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협회의 방향성이 '투쟁'으로 수렴됐음을 알린다"며 "전원 복귀라는 기사가 많았지만, 결국 어디에도 학생이 가득 찬 교실 사진은 보이지 않는다. 의미 있고 조속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의대생이 3월 내 복귀할 시 2026년도 모집정원을 증원 전 수준으로 되돌린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서울대·연세대를 중심으로 의대생들이 복귀 의사를 밝히며 '등록 후 투쟁(수업거부)'으로 전환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교육부는 단순 등록이 아닌 정상적 수업 참여, 학점 이수까지를 복귀로 본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이달 중순까지 수업 상황을 지켜본 뒤 내년도 모집정원을 결정할 방침이다.
--comment--
잘 이해하던 예수회의 귀족계파 서강대는,대한민국 정부 출범이후 국사 성균관교육이 지속되면서, 양반 성대를 이해하던 대학임.이뒤로 조선성명 복구된 5,000만 한국인 뒤 주권.학벌없이 성씨없는 일본 불교 Monkey 점쇠(요시히토,히로히토등)가 세운 마당쇠.개똥이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와 그 미만대학들.@대중언론,사설 입시지, 후발 법령은, 국제법, 한국사(국사
객관적인 법과, 역사, 사실은 아주 중요합니다. 필자는 성대출신입니다. 국가주권처럼 성균관(성균관대)의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학벌도 아주 중요합니다. 성균관의 승계 대학 성균관대와,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복잡한 국제법상의 갈등이 얽혀있습니다. 해방당시 다른 대학들은 이 법적 갈등의 당사자대학들이 아닙니다. 유교의 하느님숭배,조상숭배와 舊신분제 전통을
성균관교육. 성균관대 자격), 세계사, 국가주권의 상위법.상위 국제관습법 못이깁니다.
수업 안받는 학생은 학생이 아닙니다 퇴학 조치하고 편입과 전과로 의대 인원 채워서 의사 인력 양성하시면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퇴학된 사람은 절대로 다시 의대시험도 못 보게 해야 됩니다 인성에 문제가 있으니~~~
그냥 출결사항도 학칙대로 처리합시다. 의대라고 너무 특혜를 주는 것 같군요. 하고 싶은 사람도 많으니 편입생과 전과생으로 채우면 될 것입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