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이 국가 보유물품 관리의 전자화를 위해 무선인식(RFID) 기술을 본격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7조원에 달하는 국가보유물품의 관리가 형식적인 장부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통계 조사는 물론이고 효율적인 물품구매 의사결정을 내리기가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정부 물품관리의 총괄·조정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조달청이 이처럼 RFID 시범 적용 수준을 지나 내년부터는 본사업에 시동을 거는 것이어서, RFID 산업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조달청은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당장 내년부터 20개 행정기관을 골라 보유물품 관리에 RFID 기술을 우선 적용하는 내용의 사업 계획을 추진키로 하고, 예산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 전자조달본부 정보기획팀 정재은 사무관은 "이를 위해 현재 40억원의 예산을 신청해 놨다"고 밝혔다.
조달청은 이에 앞서 지난 2004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1년간 'RFID 기반의 국가물품관리서비스 선진화를 위한 시범사업'을 자체 보유물품을 대상으로 벌여 관련 시스템을 구축한 데 이어 그 연장선상에서 올해는 청와대 경호실과 정보통신부 통합전산센터, 교육인적자원부 등 3개 기관으로 확대해 테스트 차원에서 운영중에 있다.
주된 내용은 이들 행정기관이 보유한 물품에 RFID 태그를 붙여 서버와 연동해 전자적으로 보유 물품을 관리하는 것이다. 특히 기존 수작업에 의존하던 물품 취급과 처분, 재물조사 등의 관리 업무를 전자화해 업무의 부정확성과 비효율성을 없애는 대신 업무 생산성은 최대 7배까지 향상시켰다는 것이 조달청의 자체 분석이다.
정 사무관은 "내년 사업에서는 국가 기관 전체가 RFID를 기반으로 물품을 관리할 수 있는 대규모 포털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우선 20개 기관을 먼저 선정해 이를 활용토록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단, 해당 기관 선정 작업은 예산 책정이 끝나는대로 추진키로 했다.
한편 조달청은 이와 별도로 오는 8월부터 12월까지 4개월 동안 'RFID 기반의 국가물품관리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과제를 민간에 위탁 추진토록 해, 정부 물품 조달 과정에 RFID를 총체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과제 추진 배경은 복식부기나 발생주의 등과 같은 새로운 정부회계 처리 방식을 적용한 국가재정정보 통합 추진 추세에 발맞춰, 국가물품관리를 기존의 단순한 재고파악 수준을 넘어서 이제는 물품의 수명주기를 고려해 각 단계별로 물품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RFID 물품관리를 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전체로 확산하기 위해서는 표준 플랫폼 마련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