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한빈 기자] 서울시가 자치구와 함께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아파트)과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오염도 검사와 합동점검을 강화한다.
![서울시가 자치구와 함께 이달부터 연말까지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아파트)과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오염도 검사와 합동점검을 강화한다. 사진은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 현장의 모습. [사진=서울시]](https://image.inews24.com/v1/745ba6f3f932ff.jpg)
10일 서울시는 자치구와 함께 이달부터 연말까지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 주택과 다중 이용 시설을 대상으로 실내 오염도를 검사하는 등 합동 점검한다고 밝혔다.
점검 대상은 서울시 내 62개 신축 단지와 학원·PC방·도서관 등 청소년 이용률이 높은 5550여개 시설이다.
그동안 100세대 이상 신축 아파트·연립주택·기숙사의 경우 실내 공기질 오염도가 법적 기준을 넘어설 경우 시와 자치구가 시공자에게 개선 조치를 권고하고 사후 결과를 전달받았다.
올해부터는 법적 기준을 넘어설 경우 시공자에게 입주 전 베이크 아웃(Bake-Out·신규 주택에서 실내 온도를 높여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일) 등 환기 조치를 권고하고 이후 시가 직접 재검사를 진행한다.
![서울시가 자치구와 함께 이달부터 연말까지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아파트)과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오염도 검사와 합동점검을 강화한다. 사진은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 현장의 모습. [사진=서울시]](https://image.inews24.com/v1/c54ac9e6080fb3.jpg)
시공자가 공기질을 자가 측정할 때는 입주 예정자는 물론 자치구 공무원이 입회하고 재검사 결과는 시와 자치구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아울러 시는 청소년 보호 차원에서 학원, 도서관, PC방 등 다중이용시설 5550여곳을 대상으로 초미세먼지 등 오염도 사전 점검도 실시한다. 이는 내년부터 강화되는 관련 기준에 대비한 조치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신축 공동 주택부터 다중 이용 시설까지 빈틈없는 실내 공기 질 관리를 통해 서울 시민 건강을 지키고 우수 관리 시설에는 자율성을 부여해 시민 불편과 불필요한 행정력 투입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