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을사년 새해 주택시장 전망은 밝지 않다. 주택 정책과 시장 흐름을 연구하는 기관들의 전망을 요약하면 그렇다. 수도권에선 그나마 버텨주는 대신 지방은 약세를 보이는 '디커플링'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권역별로도 주택 공급량에 따라 혼조세는 불가피하다는 관측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이 1%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택산업연구원도 0.5% 하락을 점쳤다.
수도권은 최대 1% 오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수도권 집값에 대해 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각각 1% 상승할 것이라고 점쳤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도 0.8% 상승을 내다봤다.
이에 비해 지방의 전망치는 하락이 우세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1곳만 지방 집값이 보합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고, 건산연과 주산연은 각각 2%, 1.4%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025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세미나 자리에서 "수도권에서 매매와 전세가격은 1~2% 정도 상승할 것"이라며 "지방은 매매가격이 오르지 않고 유지하는데 비해 전세는 임대차시장의 불안정한 요소를 고려해 1%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똘똘한 한채' 위주의 인식이 퍼져 수도권으로 더 밀집돼 수요가 몰리기 때문에 지방은 낮아져도 수도권의 주택 가격은 계속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마저도 불확실성 해소에 달렸다"…지역별 주택 공급량에 주목해야
건산연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 선포로 자초한 탄핵 정국 이전에 전망치를 내놨다. 지난달 19일 전망치를 내놓은 주산연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기 등 선례를 바탕으로 탄핵 정국이 집값에 끼치는 영향이 적다고 판단했다.
전문가들은 탄핵 정국이 마무리돼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이후 새 정부의 정책 방향이 우리나라 경제에 끼칠 영향을 우려했다.
실제로 지난 2일 정부가 발표한 '올해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는 전년 대비 1.8%로 지난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발표한 2.2%보다 반년 만에 0.4%포인트(p) 낮아졌다. 수출 악화 우려 때문이다. 반도체 등 주력업종 경쟁 심화, 트럼프 정부 출범 후 미국 통상정책 전환에 따른 하방 요인으로 수출이 축소될 것이란 관측이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올해 상반기에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고관세 부과 등 트럼프 정책으로 인한 우려 역시 해소된다는 전제 조건에서 수도권은 집값이 오를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지방의 주택 시장 상황은 쉽지 않다"고 내다봤다.
김 소장은 "수도권은 오는 2026년까지 입주 물량이 줄어들고 전세가격은 오르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도 내린다면 반등 가능하다"고도 했다.
불확실성이 제거되면 집값은 전망치대로 '상저하고' 흐름으로 보이며 지역별 편차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일각에서는 수도권과 지방 모두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권역별로 주택 공급 여파가 이어지거나 전셋값이 주춤한 곳에서는 집값 편차가 예상보다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수도권에서도 전셋값이 회복하지 못하는 경기 외곽 지역들은 회복이 더딜 수 있다. 일례로 경기 외곽 지역, 분당을 기준으로 남쪽에 위치한 평택, 여주, 이천과 의정부를 기준으로 경기 북부 지역들은 약세를 보일 수도 있다"며 "인천도 공급이 누적되면서 약세를 이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윤 위원은 "지방도 지역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그간의 주택 공급으로 인한 충격이 모두 흡수된 지역들은 주택 공급의 부족 사이클로 접어들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