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설재윤 기자] 지난해 폐업한 사업자의 수가 100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절반에 달하는 이들이 '사업 부진'을 이유로 폐업했다고 밝혔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사업자는 98만 6000명으로, 비교 가능한 통계가 집계된 지난 2006년 이후 가장 많았다.
특히 지난해 폐업 경영자 수는 코로나 팬데믹 위기를 겪은 지난 2020년(89만 5000명)과 2021년(88만 5000명)보다도 높았다.
지난해 폐업한 사업자 중 '사업 부진'을 이유로 폐업한 이들의 비중은 48.9%(48만 2000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지난 2010년(50.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업종별로는 소매업(27만 7000명), 기타 서비스업(21만 8000명), 음식업(15만 8000명)의 사업자 수가 많았다. 특히 음식점(16.2%), 소매업(15.9%) 같이 소상공인이 많은 업종의 폐업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총은 음식업의 폐업률이 가장 높은 이유로 진입장벽이 낮아 사업자 간 경쟁이 치열하고 최저임금 수준을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봤다.
또, 매출규모가 상대적으로 영세한 개인사업자인 '간이사업자'의 폐업률(13.0%)이 일반사업자(8.7%)나 법인사업자(5.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세 소상공인들의 경영 여건이 더 어려워진 것으로 해석된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19.8%), 30대(13.6%), 사업자의 지난해 폐업률이 다른 연령층보다 높았다. 지난해 2022년에 비해서도 30세 미만과 30대 폐업률이 다른 연령층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승용 경총 경제분석 팀장은 "최근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누적된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부담도 높다 보니 중소영세기업이나 소상공인들이 경영난을 버티지 못해 폐업이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내년 경기가 올해보다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소비 진작, 투자 촉진 등 내수 활성화와 영세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대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