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당시 발생한 네이버 접속 장애는 폭증한 트래픽을 감당하지 못한 데 따른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입수한 비상계엄 당시 주요 포털 사이트 서비스 장애 현황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의 계엄 당일 트래픽은 평소 최고치 대비 1320% 급증했다.
네이버 뉴스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7분 뒤인 10시35분부터 장애를 빚기 시작했다. 네이버 카페(모바일)의 경우 10시54분부터 장애가 시작됐다. 11시22분부터 다음 카페도 접속이 지연됐다. 이 의원은 "양대 포털인 네이버·다음 접속 지연 사태는 순식간에 폭증한 트래픽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네이버는 댓글 작성 등을 중단하는 셧다운을 시행했다. 네이버는 일부 기능을 중단하는 조치가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 서비스 일부 기능 부하가 전체 데이터베이스(DB)로 전이되는 상황이었고, 이를 막기 위해서는 일단 해당 기능을 중단한 뒤 DB 부하 해소를 통해 서비스를 복구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카카오는 긴급 인력 투입 등을 통해 접속 지연을 해소했다. 다만 카카오는 "순간적인 트래픽 증가에 따른 지연이 발생했다"는 입장을 밝혔을 뿐, 구체적인 설명 자료는 제출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 의원은 "우리 사회의 공론장으로서 기능하는 국내 포털이 계엄으로 일시 정지된 중대한 사안"이라며 "주무 부처인 과기정통부와 관련 포털 기업은 책임 있고 투명한 설명으로 국민 불안을 해소할 책무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네이버가 계엄의 밤 당시 트래픽 수치 등 서비스 장애 규모와 대응책을 상세히 설명한 것과 달리, 카카오는 국회의 자료 제출 요구에 불성실하게 응하고 있다" 며 "과기정통부는 포털 장애를 막지 못한 것과 관련해 확고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