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자율주행차는 데이터 싸움…레벨4 수준 인프라 구축해야"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한국자동차안전학회 공동 포럼…신재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사업단장 주제 발표
"99.99999% 안전도 확보해야 양산·상용화 가능…유연한 규제 적용·법 제도 지원 필요"

[아이뉴스24 김종성 기자]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기본 기술은 충분히 발전했다. 결국 인식·판단을 위한 '데이터 싸움'인데, 우리나라는 데이터가 약하다. 엣지케이스(Edge Case·일반적이지 않은 극단적인 경우)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이제는 실증 사업만 할 것이 아니라 실제로 '레벨4' 수준을 적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신재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사업단장이 12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와 한국자동차안전학회(KASA) 공동 포럼에서 국내 자율주행 기술과 상용화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신재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사업단장이 12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와 한국자동차안전학회(KASA) 공동 포럼에서 국내 자율주행 기술과 상용화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신재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사업단장은 12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와 한국자동차안전학회(KASA) 공동 포럼에서 국내 자율주행 기술과 상용화 전망에 대해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신 단장은 "현재 자율주행차의 모든 싸움은 '레벨4' 영역에서 이뤄지고 있다"며 "'레벨3'까지는 운전자가 책임을 지는데, 차량이 모든 책임을 지는 '레벨4'부터 진정한 자율주행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레벨4'는 자율주행을 하는 장소, 차량의 속도에 따른 센서의 영향 등 기술 역량의 차이가 크다"며 "이를 고도화해 궁극적으로 최고 속도,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 외에도 어떤 상황이나 조건에서도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한 단계가 '레벨5'"라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자율주행차량이 상용화하고 양산되지 않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안전성 확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점이 꼽힌다. 자율주행차는 다양한 교통상황과 주변 돌발변수에 대해 판단하고 주행하며, 사고 시에는 차량이 책임을 져야 한다. 각종 센서의 안전 성능,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급 연산 능력, 인공지능(AI)이 포함된 소프트웨어 등의 기술 발전이 중요하다.

현재까지 AI나 센서 기술 등이 많이 발달했지만, 자동차 제작사 입장에서는 99%의 안전이 아니라 완벽에 가까운 안전도를 확보해야만 양산이 가능하다. 시속 100km 이상 주행하는 차에서 단 한 번의 오판단과 오작동 등에 따른 인명 피해의 손실은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충분한 데이터의 축적과 실증이 필요한 자율주행차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할 수 있는 분야에서 실제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궁극적으로 완벽한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이 오래 걸리는데, 그때까지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것이다.

신 단장은 "현재 국내 자율주행차 산업은 대기업 위주의 로보택시 분야와 스타트업 중심의 로보셔틀 분야 투트랙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로보택시와 같이 완벽한 자율주행차를 만들기 어려운 현실이니, 현재 제작사별로 가지고 있는 자율주행 기술을 가지고 로보셔틀에 핸디캡(제한된 자율주행가능영역)을 적용해 사업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어, 전용 차선 운영 등 일부 구간을 지정해서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 로보셔틀을 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속도를 제한하거나 돌발 변수가 많다면 가드를 설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실제 자율주행을 적용해 보자는 것이다. 단순히 기술 개발에 그칠 것이 아니라, 사업성을 확보해야 자율주행 기술개발 업체들도 추가적인 투자 등 산업 발전의 선순환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특히 로보셔틀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현실에서 교통낙후지역, 소외지역, 인구소멸지역 등에서 국민의 이동권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신 단장은 "보여주기식 실증 사업보다는 실질적으로 자율주행사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다면 자율주행의 상용화가 더 빨리 올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은 자율주행차의 핵심인 데이터를 계속 쌓고, 자율주행산업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신뢰성도 높여가면서 자율주행 시장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 단장은 "자율주행은 아무도 가지 않은 새로운 분야"라며 "우선순위를 고려해 각 분야별로 유연한 규제 적용과 정부의 법 제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단장이 재직하고 있는 오토노머스에이투지(Autonomous A2Z)는 무인 모빌리티 플랫폼을 만드는 자율주행 스타트업체다.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가이드하우스 인사이트'가 지난해 발표한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종합순위'에서 세계 13위에 오르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신 단장은 현대자동차 제품개발연구소 전자기술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자율주행실장 등을 거쳤고, 현재 한국 ITS 학회 상임이사(자율주행기술위원장), AI 윤리 표준화포럼 자율주행·로봇 분과장, 한국자동차공학회 전기전자 부문 이사 등을 맡고 있다.

/김종성 기자(stare@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자율주행차는 데이터 싸움…레벨4 수준 인프라 구축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