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서울시 "연희동 땅꺼짐 빗물 펌프장 공사 직접 관련 없어"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아이뉴스24 류한준 기자] 서울시가 지난달(8월) 29일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땅꺼짐, 싱크홀)와 관련해 유사 사고 재발을 막고 기존 점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지반침하 사전 예방을 위한 개선안'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서울시는 토질 지반 전문가 현장조사와 3차례 합동점검회의 결과, 도로침하 원인은 지형적 특성, 기상 영향, 지하매설물, 주변 공사장 영향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지하에 공동이 발생했고, 결국 도로 하부 토사가 일시에 유실되면서 포장면이 파괴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는 "현재까지 사천 빗물펌프장 공사로 인한 직접적인 원인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명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공사 구역 내 진동계와 지하수위계를 설치하고, 지반 시추를 통해 추가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정부에서도 성산로 지반침하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8월 29일 땅 꺼짐(싱크홀) 사고가 발생했던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 인근 도로에서는 다음날인 30일 오전 도로 침하가 추가로 발생했다. 이에 따른 복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장면. [사진=뉴시스]
지난 8월 29일 땅 꺼짐(싱크홀) 사고가 발생했던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 인근 도로에서는 다음날인 30일 오전 도로 침하가 추가로 발생했다. 이에 따른 복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장면. [사진=뉴시스]

서울시는 '지하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GPR(레이더 펄스를 사용해 지표면을 이미지화하는 작업) 탐사 등 지반침하 예방 활동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올해들어 지난 8월까지 5787㎞를 조사해 공동(땅속 빈 공간) 559개를 사전에 발견하고 복구했다.

하지만 이번 사고처럼 지하 시설물 노후화와 다수의 굴착공사, GPR 탐사 장비 한계 등 여러 요인으로 갑자기 발생하는 지반침하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서울시는 "비슷한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지반침하 사전 예방을 위한 개선안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산로를 이용하는 시민과 인근 지역 주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연희동 사고 지역 일대를 '특별 점검' 대상지역으로 지정했다. 성산로(연희IC~사천교)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전수 조사를 이달(9월) 안에 마쳐 해당 지역 안전성을 재차 확인할 예정이다.

인근에서 이뤄지고 있는 사천 빗물펌프장 공사장에 대한 특별점검도 추진한다. 공사장 인근 성산로 일대를 대상으로 GPR 탐사를 월 1회 실시하고, 현장 공사 관계자가 주2회 공사장 일대를 육안 점검토록 한다. 또한 공사장 주변에 진동계, 지하수위계를 추가로 설치하고 지반 시추조사를 통해 지반안전 관리를 강화한다.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노후 상하수관로'에 대한 개선 작업도 강화한다. 전체 상수관로 1만3350㎞ 중 2040년까지 30년 이상 된 상수관로 총 3074㎞를 정비할 계획이다. 우선 올해 상수도관 62.5㎞를 , 내년에는 64.6㎞를 각각 정비할 예정이다.

서울시 GPR 탐사 장비. [사진=서울시]
서울시 GPR 탐사 장비. [사진=서울시]

30년이 넘은 모든 하수관로에 대해 폐쇄회로(CC)TV가 장착된 내시경 카메라를 활용해 정밀 조사한다. 30년이 도래하는 하수관로에 대해서도 연차별로 계획을 수립해 정비한다. 올해에는 441㎞에 달하는 하수관로가 사용 30년에 도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반침하 사고 우려가 높은 굴착 공사장(굴착깊이 10m 이상 또는 터널공사) 주변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기존에는 굴착 공사장에 대해 최초 1회 GPR 탐사 후 필요 시 추가로 탐사를 실시했지만 앞으로는 준공된 지 1년 이내 공사장까지 대상을 넓혀 월1회 GPR 탐사를 시행한다. 올해 기준 서울 시내 200여 개 공사장이 대상이다.

GPR 장비의 성능 검증 기준을 강화하고, GPR 탐사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지반침하 예방 기술도 도입한다. GPR 탐사 장비 성능 검증 기준을 강화해 매년 성능 검증을 추진한다. 또한 연 1회 민간장비-서울시 보유장비를 동시에 동일한 구역을 탐지 후 정합성을 검증하는 교차점검을 추진한다. 탐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인력과 장비도 보강한다. 서울시에는 GPR 탐지 전문인력이 7명 있다. 이달 중 전문인력 1명을 충원하고 GPR 탐사 차량도 2대 추가로 확보한다. 여기에 지반침하 우려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수치화하는 '지반침하 안전지도'도 올해 말까지 개발을 앞당길 예정이다.

지반 변동을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반침하 관측망' 설치에 대한 타당성 검토도 진행 중이다. 해당 시스템은 도로를 비롯해 공원, 주택가 등 다양한 지역에 대한 지반 안정성을 관리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서울시 GPR 탐사 차량 내부 전경. [사진=서울시]
서울시 GPR 탐사 차량 내부 전경.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관측망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며 "효과가 입증될 경우 내년(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알렸다.

유창수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시는 기존에 추진해오던 지반침하 예방 대책을 재검토하고 보완해 이번 개선안을 빈틈없이 추진하겠다"며 "시민이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도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 부시장은 또한 "도로 이용 중 발견한 불편 사항이나 이상 징후는 경찰, 120다산콜 등에 적극 신고해주시길 부탁한다"며 "신속히 확인하고 즉각 조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류한준 기자(hantaeng@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울시 "연희동 땅꺼짐 빗물 펌프장 공사 직접 관련 없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