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운영체제(OS) 장애로 발생한 IT 대란으로 인해 '초연결 시대'를 맞아 안전한 클라우드 관리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멀티클라우드 전략과 재해복구(DR)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기업들의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IT 환경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 부가통신사업자에게 멀티클라우드 도입을 권고했다. 구체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보안 SW 등 타사의 제품 도입 및 업데이트 시 모의시험 환경에서 사전 검증 적용 △단일 클라우드 기반이 아닌 2개 이상의 클라우드 기반 주요 서비스 다중화 권고 등의 내용을 담은 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수립지침을 의결했다.
멀티클라우드란 둘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를 이용하는 전략을 말한다. 단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에 의존하는 대신 여러 클라우드 환경을 혼합해 사용하는 방식이다. 특정 클라우드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클라우드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어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DR 시스템의 중요성도 함께 강조되고 있다. DR 시스템은 자연재해나 사이버 공격 등으로 인한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백업 시스템으로 전환해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체계다.
그러나 이러한 대처 방안을 실제 도입하는 데는 여러 난관이 존재한다. 가장 큰 문제는 비용이다. 멀티클라우드 구축과 DR 시스템 도입에는 상당한 초기 투자 비용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유지보수 비용도 만만치 않다.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의 경우에는 이러한 비용 부담을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데이터 관리의 복잡성이다.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지고, 보안 관리에도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로 인해 오히려 새로운 형태의 관리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 제시와 지원책 마련,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와 인식 개선, 클라우드 업체들의 서비스 안정성 강화 노력 등이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예를 들어 기업들은 클라우드 간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마련하고, 데이터 관리 효율화 기술을 고도화하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 또 정부는 기업의 DR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금 지급이나, 저리 대출 지원책을 마련해 기업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고, 캠페인이나 예방 교육 등으로 인식 개선을 돕는 것도 가능하다.
클라우드업계 한 관계자는 "다른 분야의 어떠한 기술들도 그러하듯 클라우드 환경도 사고 발생을 사전에 완벽하게 차단할 수는 없다. 다만 리스크 분산과 빠른 복구 체계를 만드는 것은 가능하다"며 "높은 필요성에도 비용 장벽 등으로 인해 DR을 구성하지 않은 기업들이 상당수다. 단기적으로는 비용 부담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멀티클라우드와 DR시스템 구축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