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이후 정부의 각종 수혜금 규모가 늘어나면서 저소득 가계의 소득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 가계 소득은 세금 납부의 영향으로 하락하면서 국내 가계의 소득불평등이 다소 해소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가계분배계정'에 따르면 2018~2022년 중 총본원소득(GNI) 기준 1~3분위 가계의 소득분위별 점유율은 코로나 기간인 2020년 이후 대체로 상승했으나 4~5분위는 하락했다. 1분위(소득 하위 20%)는 2020년 5.5%에서 2022년 6.8%로 높아졌고, 5분위(소득 상위 20%)는 같은 기간 45.0%에서 42.8%로 낮아졌다.
총처분가능소득(GNDI) 기준으로도 1~3분위 저소득 가계 소득 점유율은 대체로 상승 추세를 보였고, 5분위는 하락세가 지속됐다. 소득5분위별 GNDI 점유율 추위를 분석한 결과 1분위는 2018년 6.6%에서 2022년 7.6%로 1%p 높아졌으나 5분위는 같은 기간 40.7%에서 38.0%로 2.7%p 감소했다.
소득격차 축소는 '이전소득'에 따른 영향이다. 1~2분위 가계는 정부로부터 기초연금 등 사회수혜금을 수취하면서 총처분가등소득 점유율이 상승한 반면, 5분위는 소득세 등 경상세 납부 등으로 하락한 것이다. 다만 가구 단위 합산 결과로, 개인 간 후생 비교나 불평등 지표로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2018~2022년 중 가계의 소득분위별 소비 점유율의 경우 1~2분위는 상승 추세를 보였고 5분위는 하락 추세를 나타내면서 소비 격차도 줄었다. 코로나 유행이 시작된 2020년부터 5분위 가계가 비필수재에 대한 소비를 크게 줄인 영향이다.
가계분배계정 자료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험적 통계로 자료를 준비했으며, 앞으로도 매년 관련 통계를 작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