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기자수첩] 'iM 대구은행'이 아니어야 산다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2년 만에 새 시중은행이 iM(아이엠)뱅크라는 이름으로 탄생했다. 그러나 업계에선 뒷말도 많다.

자산 크기가 다른 지방은행보다도 작아 시중은행과의 경쟁은 언감생심 말을 꺼내기도 힘들다. 그렇다고 대구은행만의 뚜렷한 색깔도 잘 보이지 않는다.

금융당국이 정치적 고려로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면서 대구은행의 불법 계좌 개설 사건을 허겁지겁 마무리해 특혜를 줬다는 의혹도 끊이지 않는다.

지난 2021년 8월 12일부터 지난해 7월 17일까지 대구은행 56개 영업점 직원 111명은 고객 1547명의 은행 예금 연계 증권계좌를 불법으로 개설했다. 이 과정에서 고객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가 활용됐다.

그러나 금융위는 해당 직원들과 관리 책임자를 감봉·견책이라는 경징계로 처리했다. 등기 임원인 상임감사위원에 대한 징계는 이뤄지지도 않았다.

[사진=아이뉴스24 DB]
[사진=아이뉴스24 DB]

은행법상 시중은행 전환을 심사할 때는 주주 또는 임원의 위법 행위 여부를 따진다. 여기서 임원은 '등기 임원'을 말한다. 대구은행의 유일한 등기 임원은 상임 감사위원이다.

금융권에선 적잖이 놀라는 반응이 많았다. 고객 1명의 개인정보를 동의 없이 다뤄도 제재가 이뤄지는 게 다반사다. 한 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 전환이 아니었다면 담당 임원, 나아가 대표이사까지도 제재가 있었을 사안"이라고 촌평했다.

금융위도 비판을 의식한 듯, 이번 인가 심사 과정에서 대구은행의 '내부통제 체계 적정성' 관련 사항을 집중적으로 심사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금융위는 대구은행의 부실한 내부통제 문제를 '확약서'로 대체했다.

금융위도 고민이 없었던 건 아니다. 지난 1월 31일 "신속히 승인하겠다"던 시중은행 전환 인가가 늦어진 것도 등기 임원의 제재 문제를 심도 있게 심의하기 위해서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같은 사항을 완전히 다르게 해석하는 금융인들도 적지 않다. 어차피 총선 전에 이 안건을 승인하면 선거 쟁점으로 부상할 수도 있으니, 총선 후로 미룰 수밖에 없는 사안이었다고 관측한다. 애초 시중은행 전환은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 독과점 비판’에서 시작된 일이다.

체격에 맞지 않는 옷을 입으면 태가 살아나지 않는다. 시중은행이라는 옷을 입어도 소화하지 못하면 의미는 퇴색된다. 특혜라는 꼬리표를 떼기 위해서라도 대구은행은 열심히 달려야 한다.

달라지지 않으면 자신의 한계만 드러낼 뿐이다. 무엇보다 경제 정책의 정치화에 따른 부메랑을 맞을 가능성만 커진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기자수첩] 'iM 대구은행'이 아니어야 산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