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지영 기자]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을 추진하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금융당국이 지난해 말부터 우리 증시의 고질적 문제인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겠다며 갖가지 안을 내놓고 있다. 가장 최근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공모펀드를 활성화 시키는 것도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방안 중 하나라고 알렸다. 작년엔 공매도의 한시 금지 조치를 내린 데 이어 올해 초엔 공매도 감시 시스템이 완비될때까지 공매도 금지를 이어갈 수도 있다고 밝혔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한국 기업의 주가가 비슷한 가치의 외국 기업보다 저평가되는 현상을 뜻한다. 뉴욕 증권거래소에 대형주 중심으로 상장된 S&P500 지수가 지난 2014년 1월부터 현재까지 177% 오를 동안 코스피 지수는 31% 성장한 것을 보면 국내 증시의 성장세는 걸음마 수준인 게 맞다.
지난 10년 동안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들과 견줄 정도로 성장했음에도, 국내 증시는 왜 성장하지 못했을까. 이는 국내 상장사만의 문제가 아니다. 많은 경제전문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이 하나가 아닌 유기적인 문제라고 지적한다. 일반적으로 지적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은 △미흡한 주주환원 △기업의 저조한 수익성과 성장성 △취약한 기업지배구조 △회계 불투명성 △낮은 기관투자자 비중 정도다.
기업이 탄탄한 펀더멘탈(기초체력)을 가지면 기관과 같은 대형 투자자들의 수급이 들어오고 주가가 오른다. 주주환원이 바탕이 되면 투자자는 단기 차익에 목숨을 거는 '단타'가 아닌 장기투자로 수익을 얻는다. 이를 위해선 지배구조도 개선돼야 한다.
하지만 최근 정부와 금융당국이 연달아 내놓고 있는 방안들은 어쩐지 공허하다. 정말 이런 방안들로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건지 의문이다. 일각에선 코앞으로 다가온 4월 총선을 위한 선심성 정책이란 비판도 나온다. 개인투자자들의 표심을 잡기 위한 선심성 정책 말이다. 일리가 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보다는 훨씬 설득력이 있는 이야기다.
금융투자업계에서도 당국의 막무가내식 정책을 답답하게 지켜보기만 할 뿐이다. 익명을 요청한 한 관계자는 "금투세 폐지, 공모펀드 활성화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방안인지 도무지 모르겠다. 아마 업계 관계자 다 그렇게 생각할 거다. 사실 객관적인 결과보단 가치 판단이 섞인 문제 아닌가"라고 토로했다.
다른 이는 "정권에 따라서 손바닥 뒤집듯 (정책이) 뒤집히는 게 오히려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일 것"이라며 "하루 아침에 경제 정책이 뒤바뀌는 상황에서 국내 투자자는 물론이고 해외 투자자는 뭘 믿고 투자를 하겠나"라고 반문했다.
대통령과 장관이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고, 수 일 만에 입장을 번복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상황이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정부가 어떤 방안과 대책을 강구한다 한들,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해소는 요원하기만 하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