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정민 기자] 조국 전 장관,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등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과의 연대'를 주장하며 군웅할거(群雄割據)식 창당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여야 선거제도 협상 결렬을 대비해 '자매당 전략'을 검토하고 있으나 통제 불가, 지지율 분산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송 전 대표는 최근 공개석상에서 '윤석열 퇴진당', '민주당 우(友)당'을 만들겠다며 자매당 설립 의사를 밝히고 있다. 그는 4일 라디오에서 "우당에 비례대표를 몰아주고, 지역구에서는 연합해 야권이 단일 후보가 나오면 압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행 '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를 전제로 소위 '비례전문정당(비례대표에만 입후보)'을 만들어 민주당과 공조한다는 취지다.
조국 전 장관도 4일 광주 출판기념회에서 "민주당 중심으로 용혜인, 고(故) 노회찬 의원 같은 분들이 학익진처럼 함께했으면 좋겠다"며 자매당 전략을 지지했다. 그는 "제가 돌 하나는 들어야겠다는 마음을 갖고 있다"며 창당과 출마 가능성도 언급했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는 지난달 말부터 '개혁연합신당'을 본격 추진하며 친노(친노무현)계 정의당 이탈 세력인 '사회민주당' 등과 본격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민주당도 싫지 않은 눈치다. 병립형 비례대표제 복귀, 위성정당 창당 모두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4일 "연합 비례 정당을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만약 여야 선거제도 협상이 불발되면 (자매당 전략이) 민주당에게 가장 덜 부담스러운 방향이긴 하다"며 "넓게 보면 '이낙연 신당'도 자매당 범주로 넣을 수 있다. 선거 이후 공조만 잘 되면 손해 보는 장사가 아닐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자매당 난립을 우려하는 반응도 적잖다. 우선 공천, 계파 갈등을 이유로 자매정당에 대한 완벽한 통제가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지난 총선 당시 자매당에 해당했던 '열린민주당'도 공천 문제와 '조국 사태'에 대한 견해차로 이해찬 지도부와 충돌한 바 있다. 당시 민주당은 열린민주당에 '복당 불허' 방침을 내걸기도 했다.
당시 사정을 잘 아는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민주당 내부에서 공천 가능성이 없거나 지도부와 다툰 사람들(계파갈등 등)이 넘어가면 결국 세세한 잡음이 생긴다(공조가 어렵다)"며 "말이 자매정당이지 이해관계가 달라지면 언제든 남이 되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열린민주당은 2020년 이후 민주당과 정책 공조는 이어갔으나 합당은 대선 직전인 2021년 말에야 추진됐다.
'제3지대'와의 충돌 등 지지율 분산도 부담이다. 현재 새로운선택(금태섭), 한국의희망(양향자) 등이 활동하는 가운데 '자매정당'까지 난립하면 야권 지지층, 중도층 표가 흩어질 수 있다. 한 민주당 중진 의원은 "제3지대가 비례대표를 안 내겠다는 것도 아니다. 자매정당까지 생기면 우리와 제3지대의 지지층이 겹쳐 (비례대표) 경쟁이 심해질 수 있다"며 "오히려 여당이 반사이익을가져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현재 여야 선거제도 협상 결과가 자매당 전략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민주당이 병립형 비례대표제 복귀에 합의할 경우 자매당 창당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자매정당 전략을 긍정한 지 하루 만에 "모든 약속을 다 지켜야 하느냐(5일 CBS라디오)"며 병립형 복귀 가능성을 다시 언급했다. 친명(친명계) 김영진 당대표 정무조정실장도 이날 송영길의 '우당 전략'과 관련해 "과도한 상상력"이라고 지적했다.
한 친명계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 대표가 통제하기 어려운 송영길, 조국, 이낙연 신당이 총선 이후에도 (대표와 민주당에) 도움 될지는 생각해 봐야 한다"며 "불확실한 선거연합(자매정당 전략)보다 (병립형 복귀를 통해) 확실한 다수당, 원내 1당을 만드는 것이 훨씬 유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정민 기자(pjm8318@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