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오경선 기자] "운영하던 사업이 토큰 증권(ST)에 포함되면서 모든 프로세스를 새로운 가이드라인에 맞춰야 하는 상황이지만, 용어 하나부터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지 막막한 상황입니다."
토큰 증권 발행(STO)이 제도권으로 편입되면서 금융투자, 블록체인 등 관련 업계에선 신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부풀고 있지만, 실무자들은 여전히 불명확한 기준과 소통 부재로 업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토큰 증권이란 블록체인(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한 것을 뜻한다. 정부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증권성을 갖고 있는 조각투자나 가상화폐(코인)를 자본시장법 등 규율 내에서 운영토록 하기 위해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STO를 제도권으로 편입키로 하면서 기존에 조각투자 형식으로 운영되던 플랫폼 다수가 운영하던 서비스를 잠정 중단하고,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사업을 재편하고 있다. 최근 만난 한 조각투자 플랫폼 관계자는 STO 사업 준비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정부의 소통 부재를 토로했다. 당장 하반기부터 다시 사업을 재개해야 하는 상황인데, 포괄적인 내용을 담은 가이드라인만으로는 사업 재편이 어려울 뿐 아니라 보충적인 문의도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최근 국회에서 진행된 STO 관련 세미나에서도 비슷한 의견이 나왔다. 해당 세미나에서 한 증권사 임원은 효율적으로 새로운 사업을 준비하기 위해선 규제나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사전에 공유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에둘러 표현했다.
STO 시장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면 실물자산 기반의 다양한 투자 아이디어 활성화는 물론 기존에 시장에서 접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투자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자 입장에선 제도권 내에서 투자에 대한 보호를 받으면서, 동시에 매력적인 상품을 접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그러나 자칫 투자자 보호나 제도 운영에만 치우쳐 새로운 시장의 개화를 놓치지는 않을까 우려된다. 새로운 사업의 등장이 기대되는 현 시점에서 정부 당국의 발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