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종합] "또 기록깼다"…삼성전자, 악재 속 78조 매출 신기록 올린 비결은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반도체·스마트폰·프리미엄 가전 판매 호조…역대 최고 매출 기록 또 갈아치워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삼성전자가 코로나19 확산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여러 악재 속에서도 올해 1분기에 또 실적 신기록을 달성했다.

반도체 업황 개선과 프리미엄 생활가전·TV 판매 호조, 스마트폰 신제품 판매 증가, 거래처 다변화를 통한 안정적인 부품 공급 효과 등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연결기준으로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95% 늘어난 77조7천800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50.5% 증가한 14조1천200억원을 달성했다. 전기 대비로는 매출이 1.6%, 영업이익이 1.9% 상승한 수치다.

삼성전자는 연결기준으로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0% 늘어난 77조7천800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장유미 기자]
삼성전자는 연결기준으로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0% 늘어난 77조7천800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장유미 기자]

이번 1분기 실적은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는 매출 75조823억원, 영업이익 13조283억원이다.

삼성전자의 1분기 매출이 70조원을 넘어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 역대 최고 매출인 지난해 4분기 76조5천700억원 기록도 이번에 갈아치웠다.

특히 1분기는 통상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통상적인 부품업계의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이번에는 역대급 성과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 73조9천8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이후 3개 분기 연속 분기 매출 70조원을 돌파했다. 1분기 기준 실적이 가장 좋았던 때는 지난해 1분기로, 매출액은 65조3천885억원, 영업이익은 9조3천829억원이었다.

영업이익도 반도체 슈퍼호황 때와 버금가는 14조원대를 기록했다. 역대 1분기 기준 2018년(15조6천4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또 메모리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인 '갤럭시 S22' 시리즈와 프리미엄 TV 판매 호조 등으로 전분기 대비 이익과 이익률이 모두 개선됐다.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동안 여러 악재 속에서도 역대급 실적을 기록해 업계에선 더 유의미하게 평가했다. 1분기 동안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정보기술(IT) 기기 수요 감소, 파운드리 수율 및 엑시노스 논란, 스마트폰 'GOS(게임 최적화 서비스)' 문제 등의 여파 속에서도 역대급 실적을 기록해서다.

이 같은 실적 호조 배경으로는 스마트폰 신제품 판매 증가와 반도체 부문 선방이 꼽힌다. 올해 초 출시된 '갤럭시S22' 시리즈가 여러 논란 속에서도 흥행몰이에 성공한데다 반도체 D램의 가격 하락세도 예상보다 크지 않아 실적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거시경제와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 매우 어려운 경영 여건 가운데서도 임직원들이 혁신과 도전을 통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고객사·협력회사들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또 다시 기록적인 매출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손익 분석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손익 분석 [사진=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이끄는 DS 부문은 파운드리 수율 문제, 엑시노스 논란 속에서도 1분기 동안 호실적을 이끌었다. 우려했던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 폭이 데이터센터 등의 수요가 받쳐주면서 예상보다 적었던 덕분이다. 특히 삼성전자가 서버용·PC용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포트폴리오로 전환한 덕분에 서버용은 역대 최대 분기 판매를 기록했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1분기 D램과 낸드의 출하량 증가율(bit growth)은 모두 한 자릿수 초반의 감소세를 기록할 것이란 기존 예상과 달리 각각 보합, 3% 증가했다"며 "기존 예상보다 양호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영향으로 1분기 반도체 부문 매출액은 26조8천700억원, 영업이익은 8조4천50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 영업익 절반을 담당한 셈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3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51.5% 늘었다. 이는 시장 전망을 상회하는 실적이다.

비메모리 분야인 시스템LSI는 모바일 비수기 영향으로 시스템온칩(SoC)과 이미지센서(CIS) 공급이 감소했으나, 긍정적 환영향과 판가 인상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은 공급 이슈 등 우려 속에서도 모든 응용처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첨단공정 비중을 확대하고 수율도 안정 궤도에 진입했다.

삼성 갤럭시 S22 울트라 [사진=삼성전자 ]
삼성 갤럭시 S22 울트라 [사진=삼성전자 ]

지난해 말부터 스마트폰과 가전 사업이 합쳐진 DX부문은 프리미엄 전략 주효로 2013년 이후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DX부문은 1분기 매출 48조700억원, 영업이익 4조5천6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매출은 13.2%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17.2% 감소했다.

이 중 스마트폰(MX)과 네트워크 사업은 '갤럭시S22' 시리즈의 흥행에 힘입어 견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MX·네트워크 사업(구 IM부문)은 1분기 매출 32조3천700억원, 영업이익 3조8천2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과 비교해 매출은 10.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원가 부담 등의 영향으로 13% 줄었다.

MX는 부품 공급 부족, 지정학적 이슈, 부정적 환율 영향 등에도 불구하고 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과 함께 수익성도 향상됐다. 또 플래그십 경험을 가미한 중가 5G 신모델이 호평을 받은 가운데 프리미엄 태블릿과 워치 등 갤럭시 생태계 제품군도 견조한 판매를 기록했다.

특히 업계에선 올 초 'GOS 논란'으로 신뢰도가 하락했다는 평가 속에서도 '갤럭시S22' 시리즈가 전작보다 2주나 빠른 속도로 국내서 출시 43일만에 판매량 100만 대를 넘어선 것은 고무적이란 평가다. 지난 2019년 출시돼 역대급 흥행 기록을 세운 '갤럭시S10(47일)'보다도 나흘 앞선 결과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올해 1분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수요는 약 350만 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400만 대)에 비해 10% 이상 역성장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그럼에도 '갤럭시S22' 시리즈는 초기 흥행이 이어지며 '순항'하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TV 등 가전 부분 매출은 전분기보다는 감소했으나, 네오 QLED와 비스포크 등 프리미엄 제품 위주로 시장을 공략하면서 선방했다. 또 연말에 가전업체들이 각종 할인 행사나 이벤트를 집중시키며 치열하게 경쟁을 벌인 후 연초 생산량을 줄이는 탓에 1분기는 '비수기'로 꼽혔으나, 코로나19 사태 이후 계절적 요인이 예전만큼 뚜렷하게 작용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주효했다.

이에 따라 생활가전과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구 CE부문)은 매출이 큰 폭으로 늘었다. 그러나 원가 부담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뒷걸음질쳤다. 해당 사업의 1분기 매출은 15조4천700억원, 영업이익은 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매출은 19.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7.7% 줄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영상디스플레이는 네오 QLED, 초대형 등 프리미엄 고부가 전략제품 판매 확대로 시장 수요 감소 상황에서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성장하고 이익도 개선됐다"며 "생활가전은 원가 부담 속 비스포크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판매가 성장하며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디스플레이 사업(삼성디스플레이)은 '갤럭시S22' 흥행에 힘입어 1분기에 사상 최대 매출을 거뒀다. 영업이익도 지난해 동기 대비 3배나 증가해 1조원을 돌파했다.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7조9천700억원, 영업이익은 202% 늘어난 1조90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스마트폰 주요 고객사의 판매 호조, 게이밍 등 신규 응용처 판매 확대로 1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며 "대형 패널은 퀀텀닷(QD) 디스플레이 생산 수율이 예상보다 빨리 안정화된 가운데 QD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모니터를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1분기 시설투자 규모는 7조9천억원이었다. 사업별로는 반도체가 6조7천억원, 디스플레이가 7천억원 수준이다. 메모리는 수요 증가에 대비해 평택 3기 인프라 투자와 화성·평택·시안 공정전환을 중심으로 시설투자가 집행됐다. 파운드리는 5나노 이하 첨단공정 개발과 생산능력 구축을 중심으로 투자가 진행됐다.

삼성전자는 1분기 배당금으로 보통주 1주당 361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시가 배당율은 0.5%다.

삼성전자의 1분기 매출이 70조원을 넘어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아이뉴스24 DB]
삼성전자의 1분기 매출이 70조원을 넘어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아이뉴스24 DB]

하지만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에 대한 전망은 다소 어둡다.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물류 이슈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서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문의 경우 수요 견조세에 적극 대응하고, DX부문은 스마트폰·TV 신제품 판매 확대와 프리미엄 리더십 강화를 통한 수익성 확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는 서버 중심으로 수요 견조세에 적극 대응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의 질을 지속적으로 높여갈 계획이다. 시스템LSI는 SoC와 이미지센서 등 주요 부품 공급 극대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파운드리는 GAA(Gate-All-Around) 3나노 공정을 세계 최초로 양산해 기술 리더십을 제고하는 한편, 미주와 유럽 등 글로벌 고객사 공급 확대에 주력하고 신규 수주 확대도 지속할 계획이다.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거시경제 요인에도 불구하고 주요 고객사 플래그십 스마트폰과 게이밍 등의 수요 영향으로 전년 대비 견조한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 패널은 QD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TV 출시로 매출 증가와 적자폭 축소가 전망되며, LCD 생산은 예정대로 단계적으로 축소할 계획이다.

MX는 주요 부품 공급 상황이 개선되는 가운데 '갤럭시 S22'의 견조한 판매 지속과 중가 5G 신모델 판매 확대 등으로 전년 대비 매출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글로벌 공급망(SCM)을 활용해 거시경제 영향을 최소화하며 견조한 수익성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네트워크는 통신사업자에게 안정적으로 제품을 공급하는 한편, 신규 수주 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다.

영상디스플레이는 시장 수요 감소가 전망되는 가운데 새롭게 출시한 네오 QLED, 더 프리스타일 등 신모델 판매를 본격화하고 프리미엄 수요를 선점해 매출 성장을 추진할 방침이다.

생활가전은 에어컨 판매를 본격화하고 비스포크 글로벌 확대 등 제품 믹스 개선을 통해 매출 성장과 수익성 제고에 주력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하반기 역시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봤다. 다만 부품 사업은 시황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이코어(High-core) CPU 전환 확대에 따른 서버 수요 강세와 신제품 출시에 따른 모바일 수요 회복이 있을 것으로 기대돼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첨단공정과 신규 응용처 확대에 중점을 둘 계획"이라며 "DDR5, LPDDR5x 등 차세대 인터페이스 판매를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비중을 높여 시장 리더십을 제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DX 사업은 프리미엄 리더십과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라며 "삼성전자만이 제공할 수 있는 TV·가전·모바일을 아우르는 멀티 디바이스 경험(MDE)을 제공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종합] "또 기록깼다"…삼성전자, 악재 속 78조 매출 신기록 올린 비결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