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건강한 삶이 중요하다…여성 세대별 주의해야 할 질환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소아(성조숙증), 청년(자궁경부암), 중년(골다공증)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여성의 지위가 점차 높아지고 사회활동도 활발해졌다. 육아나 가사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 본인 건강에는 소홀하기 쉽다. 여성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대별 주의해야할 질환이 있다.

◆소아·청소년 ‘성조숙증’ 체크해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성조숙증으로 진료를 받은 소아·청소년은 2010년 2만8천251명에서 2020년 13만6천334명으로 11년 만에 약 5배 급증했다.

여아 8세 미만, 남아 9세 미만에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사춘기가 시작됐을 때 성조숙증으로 진단한다. 성조숙증을 진단할 때는 중추신경계종양, 난소종양과 같은 원인 질환이 있는지 파악하고 검사 결과 원인 질환을 발견했다면 함께 치료해야 한다.

성조숙증의 원인은 80~90%가 특발성이나 가족력, 환경호르몬이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사춘기 시기의 경우 소아기의 체지방량과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체질량지수가 높은 소아일수록 이른 나이에 유방 발달이 시작되며 이차성징뿐 아니라 초경도 더 빠르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소아비만은 비만이 가진 합병증뿐 아니라 사춘기를 앞당기고 성장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성조숙증 여아는 초경이 빨라져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장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만 8세 이전에 유방 멍울이 만져지거나, 음모가 발달한다면 성조숙증을 의심하고 빠르게 병원을 찾아가 검사 받아야 한다.

성조숙증으로 진단된다면 성호르몬 분비를 제한하는 주사치료를 통해 성발달을 억제할 수 있다. 치료와 함께 규칙적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통한 적정체중을 유지하고 일회용 용기사용을 자제해 환경호르몬 노출을 최소화하는 등 생활 속 관리도 병행해야 한다.

여성 세대별 주의해야할 질환이 있다. [사진=힘찬병원]
여성 세대별 주의해야할 질환이 있다. [사진=힘찬병원]

◆청년층·2030 ‘자궁경부암’ 급증→남녀 모두 백신 맞아야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이다. 젊은 층에서 발병률이 높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보면 자궁경부암 환자는 2016년 5만7천164명에서 2020년 6만1천892명으로 약 5년 새 8% 증가했다. 같은 기간 20~30대 환자는 1만4천572명에서 1만7천806명으로 약 22% 늘었다.

자궁경부암은 정기 검진으로 조기발견을 할 수 있다. 다만 자각할 만한 초기증상이 없어 정기 검진이 중요하다. 만 20~70세 여성이라면 1년 간격으로 세포 검사를 권고하며 2년 간격으로 국가건강검진으로 무료 검사가 가능한 만큼 검진 대상이라면 미루지 말고 반드시 받아야 한다.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은 HPV(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HPV는 200여 종에 달한다. 이 중 40여 종이 성접촉에 의해 발생한다. 16·18·32·33형 등이 고위험군 바이러스에 속한다. 자궁경부암은 발병 원인이 명확해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암이다.

국내 접종 권장 대상은 여성 만 9~45세, 남성 만 9~26세다. 성생활을 시작하기 전, 어릴수록 항체 생성력을 높일 수 있어 일찍 접종할수록 효과적이다. HPV는 성접촉에 의해 전파되므로 남성도 백신을 맞는 것이 좋다.

◆중년 이후부터 ‘골다공증’ 관리해야

여성이라면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것이 있다. 폐경이다. 나이가 들면 난소가 노화돼 여성호르몬이 감소하고 배란이 서서히 멈추는 폐경이 찾아온다. 폐경이행기는 월경주기가 불규칙해지면서 마지막 월경까지를 의미하며,

폐경이행기는 평균 46세에 시작해 대략 4~5년 정도의 기간이 걸린다. 갱년기 증상은 주로 폐경이행기와 폐경 후에 주로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골밀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콜라겐, 칼슘, 인 등으로 구성된 뼈는 오래된 뼈 조직을 새로운 뼈 조직으로 바뀌는 골교체 과정에 의해 항상성이 유지된다. 갱년기에는 뼈 생성에 관여하는 에스트로겐이 크게 감소하면서 파괴되는 양보다 보충되는 뼈의 양이 줄어들어 골다공증 위험이 높아진다.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심할 경우 기침을 하거나 넘어지는 등 작은 충격에도 골절될 수 있다. 고관절 부위 골절이 발생하면 1년 안에 사망할 확률이 15~20%, 8년 이내 누적 사망률이 60%에 달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린다.

중년 이후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골다공증 직전인 골감소증 단계부터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강진우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여성의 경우 골밀도 감소가 가속화하는 폐경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골밀도 검사를 받고 골감소증 단계부터 호르몬 요법 등의 적극적 치료를 통해 골다공증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다”며 “뼈 생성을 돕는 비타민D·칼슘 섭취, 적정 체중 유지, 골절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근력 운동 등 평생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건강한 삶이 중요하다…여성 세대별 주의해야 할 질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