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12월 시중 통화량 전달보다 24조↑…전체 통화량 3600조 돌파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금리 인상에 주식 등 팔고, 예·적금 크게 증가

[아이뉴스24 배태호 기자] 지난해 12월 한 달간 시중에 24조원 가깝게 자금이 풀리면서 시중 통화량이 3천600조원을 넘어섰다.

2021년12월 통화 및 유동성 지표 추이 [사진=한국은행]
2021년12월 통화 및 유동성 지표 추이 [사진=한국은행]

17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2021년 12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협의통화(M1)는 1천341조9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는 15.6% 증가했다.

또 같은 달 광의통화(M2)는 3천613조6877억 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3.2% 늘었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8년 11월 14.0% 증가 이후 13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M1은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을 뜻한다. M2는 M1에 MMF(Money Market Funds, 투자신탁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자금을 받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초단기금융상품),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2년 미만 금융채와 금전신탁, 양도성예금증서(CD)·환매조건부채권(RP)·표지어음 등 시장형상품과 CMA·2년 미만 외화예수금 등 기타 통화성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M2의 경제주체는 일반가계와 소규모 개인사업자, 가계에 봉사하는 민간 비영리단체 외에 공기업과 민간기업, 산업단체 등 기업, 보험회사 연금기금, 증권회사, 여신전문회사 등 기타 금융기관, 여기에 사회보장기구와 지방정부 등 기타부문을 모두 포함한다. M2는 이들 경제주체가 얼마나 많은 통화를 보유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시중 통화량이라고 하면 M2를 의미한다.

금융상품별 M2 증가 현황을 보면 정기예적금(20.5조 원), 금전신탁(5.3조 원), 시장형상품(4.5조 원) 등이 증가한 반면, 수시입출식(5.7조 원), MMF(4.1조 원) 등이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기업(14.6조 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14.4조 원), 기타금융기관(0.9조 원) 등이 증가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이 감소세로 전환했지만 주식 등 위험자산을 팔고, 금리 상승 등으로 정기 예금과 적금 등이 크게 늘면서 통화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통화량은 일정 시점에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폐 양으로 M2 대비 M1 비율이 크면 가계나 기업 등 경제주체가 당장 쓸 수 있는 현금화된 유동성 비율이 크다는 뜻이다. 반면, M1/M2 값이 작으면 반대를 뜻한다.

한편 M2에 2년 이상 장기금융상품과 증권금융 예수금을 포함한 생명보험계약 준비금 등을 더한 금융기관유동성(Lf)의 지난해 12월 평잔은 4천939조2천억 원으로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10.7% 늘었다.

또 Lf에 손보사의 장기저축성보험계약 준비금과 예금보험공사채, 여신전문기관 발행채 등 기타금융기관 상품과 국채 및 지방채, 회사채, 전자단기사채를 포함한 기업어음(CP)을 더한 광의유동성(L)의 12월 말 기준 잔액은 6천235조9천억 원으로 전달보다 0.5%, 1년 전보다 1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태호 기자(bth@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12월 시중 통화량 전달보다 24조↑…전체 통화량 3600조 돌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