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서비스·제조업 비중에 엇갈린 ESG 리스크…한·중 높고·유럽 낮고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전경련, '글로벌 ESG 리스크 맵' 발표…"제조업, 서비스업 대비 ESG 리스크 높아"

[아이뉴스24 서민지 기자] 전 세계적으로 ESG 경영이 중요하게 떠오르는 가운데 한국의 ESG 리스크가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ESG 평가기관인 서스테이널리틱스 사이트에 공개된 전 세계 3천456개 기업의 분석 결과(8월 초 기준)를 토대로 작성한 '글로벌 기업 ESG 리스크 맵(MAP)'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 세계 주요 증권거래소별로 상장기업들의 ESG 리스크 점수(평균)가 높은 시장은 상하이증권거래소 36.1, 선전 32.9, 홍콩 30.5, 한국거래소 30.1 순으로 모두 '리스크 높음(HIGH)' 등급에 해당했다. 반면 낮은 거래소는 파리증권거래소 20.6, 런던 21.6, 나스닥 22.1, 대만 22.4, 프랑크푸르트 22.5 순이었다.

서울 도심 빌딩 스케치. [사진=정소희 기자]
서울 도심 빌딩 스케치. [사진=정소희 기자]

이와 관련해 전경련은 "국가별로 서비스업, 제조업 비중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실제 서비스 업종의 경우 평균 리스크 점수가 낮았으며, 금속, 철강 등 제조업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통계(2019년, ISTANS)에 따르면 영국·프랑스 등은 서비스업과 제조업 비중이 각각 약 80%, 10%였으며, 중국은 서비스업 53.4%, 제조업 27.9%였다. 한국은 62.4%, 27.7%였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ESG 리스크가 높은 업종은 금속, 철강, 비철금속, 오일가스, 우주항공·방산 순이었으며, 리스크가 낮은 업종은 섬유·의류, 운송인프라, 미디어, 포장, 소매업 순이었다.

한국기업 중 ESG 리스크가 낮은 기업(Low 등급)은 삼성전기(15.0),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5.4), 현대모비스(16.0), CJ대한통운(16.1), 엔씨소프트(16.8), 한온시스템(17.1), 현대글로비스(17.3), CJ ENM(17.6), 네이버(17.7), , 휠라홀딩스(17.7), LG전자(17.9), 코웨이(18.0), 셀트리온헬스케어(18.0), 펄어비스(18.2), 넷마블(18.7) 등이었다.

업종별 1위 기업으로는 섬유·의류 분야 에르메스 인터내셔널(10.1, 프랑스), 미디어 분야 리드 엘제비어RELX(5.4, 영국), 내구소비재 툴레(7.5, 스웨덴), 반도체 ASML(11.8, 네덜란드), 전자기기 시그니파이(13.1, 네덜란드), 가정용품 헨켈(12.5, 독일) 등이 차지했다.

전체 3천456개사 중 하위기업 '톱 5'는 중국북방희토하이테크(중국), 도쿄전력(일본), 내몽고포두철강연합(중국), Zijin 마이닝 그룹(중국)이었다. 분석대상 기업 전체에서 하위 20개사는 중국 14개, 캐나다 2개, 일본·멕시코·호주·미국 각 1개였다.

이들 기업은 공통적으로 최근 3년 내 주요 콘트로버시 사건·사고 발생으로 '콘트로버시 5등급'을 받았다. 콘트로버시는 사회적 논란을 야기한 사건·사고를 의미한다.

이 가운데 도쿄전력은 올해 초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해양 방출을 결정해 역내 영향권에 있는 한국, 중국 등의 반발을 초래한 바 있다. 도쿄전력의 콘트로버시 사건사고 유형은 '지역사회 관계', '가스누출·폐수·폐기물' 등으로 분류됐다.

2017년 1억3천만 명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에퀴팩스의 콘트로버시 등급은 5등급인 반면 최근 5억3천만 명의 개인정보유출 사건이 발생한 페이스북은 4등급을 받았다. 전경련은 사건·사고의 파장 정도도 중요하지만 기업별 리스크 대응 수준이 다른 경우 등급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볼 때 앞으로 ESG 규제강화와 확산에 대한 EU의 드라이브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ESG경영은 결국 전사적 리스크 관리이며 기업들이 업종별 중대 ESG 리스크 이슈를 사전에 정형화해 발생확률을 낮추고, 리스크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프로세스나 거버넌스 요소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한국 기업이 리스크 관리 노력과 시스템을 적극 홍보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서민지 기자(jisseo@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비스·제조업 비중에 엇갈린 ESG 리스크…한·중 높고·유럽 낮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