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선훈 기자] 메타버스에 대한 정부 지원이 총체적이고 융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메타버스가 인공지능(AI)·가상현실(VR)·블록체인 등 다양한 ICT 기술의 집합체라는 점을 감안해 이들을 포괄하는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우운택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15일 국회 문화콘텐츠포럼(대표의원 조승래)와 미래경제연구회(대표의원 조응천) 주최로 열린 '메타버스 현황과 문화산업 활용 가능성' 토론회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우 교수는 "누군가는 가상·증강현실을 메타버스라 하고, 누군가는 게임을 메타버스라 하며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아바타를 통해 다양한 사회·문화·경제적 활동을 하는 공간을 메타버스로 정의하기도 한다"며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콘텐츠 위주로 많이 조명되는데 이를 넘어 소셜 미디어이자 가상 융합 경제 플랫폼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단순히 재밌게 노는 공간으로서의 메타버스에서 더 나아가 가상세계에서의 다양한 체험을 현실로 끌고 가는 방식으로 가야 메타버스를 통해 더욱 무한한 가능성을 창출할 수 있다는 의미다. 우 교수는 "현실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테스트베드로서의 플랫폼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고, 사람들이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써의 기능도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에 포함되는 다채로운 기술이 융합돼야 하지만, 현 정부의 정책은 이를 감안하면 지나치게 파편적이라는 것이 우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메타버스 관련 과제를 하는데 사물인터넷(IoT), 5G(5세대 이동통신), AI, 가상화폐, 디지털 트윈 등의 과제가 따로따로 이뤄진다"며 "그리고 이를 다 한데 모으면 결국 아무것도 진행되지 않게 된다"고 짚었다.
우 교수는 "그간 정부에서 하는 과제를 지켜보다 보면 그야말로 말만 범부처 사업이지 결국 예산을 어느 부서에서 관리하느냐에 따라 다시 담당이 쪼개지는 현상이 반복돼 왔다"며 "이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일종의 '파일럿 프로젝트'가 진행돼야 한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이건희 전 삼성 회장 소유의 미술품인 '이건희 컬렉션'을 예시로 들었다.
우 교수는 "국민들이 보다 손쉽게 한자리에서 '이건희 컬렉션'을 체험할 수 있도록 새로운 체험 박물관을 만들어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기술이 부족한지, 당장 어떤 기술을 활용 가능할지 등을 그림을 그려볼 수 있고 또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다양한 문제들이 얽히기 때문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나 문화체육관광부 등 여러 부처들이 관여할 필요가 있기에 이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수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정책국장은 "메타버스 안에서도 VR이면 VR, AI면 AI 식으로 분절시켜 연구하는 것보다는 융합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메타버스 진흥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민의 행복이며,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수직적이며 수평적인 융합 체계가 중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국장은 "특히 MZ세대가 문화 소비의 핵심 주체로 등장하고 성장한 만큼 재미와 경험을 제공하는 콘텐츠 중심의 정부 정책으로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며 "장르별로 분산 지원하는 정책에서 벗어나 이를테면 MZ세대가 주로 소비하는 한류콘텐츠를 중심으로 융합 콘텐츠를 육성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주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정책관 디지털콘텐츠과장은 "지난 5월 민·관 '메타버스 얼라이언스'가 출범했다"며 "앞으로 메타버스 생태계에서 공급·수요 기업 간 협력의 장을 마련해 이들이 기획한 프로젝트 중 우수한 프로젝트에 대해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향후 정부의 메타버스 지원 방향을 소개했다. 이를 토대로 개방형 메타버스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취지다.
이 과장은 "가상융합기술의 산업간 융합이 확산되고 있지만 기존 산업별로 여러 가지 규제들이 발목을 잡고 있다"며 "다만 메타버스 내에서는 현실 세계보다 다양한 문화적·경제적 활동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떄문에 현실의 법 제도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며, 그렇기 때문에 현실의 규제나 법 적용을 최소화하는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윤선훈 기자(krel@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