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서울 주택 1건당 평균 취득세 458만원 올라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김상훈 의원 "국민 부담 가중시키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시정돼야"

2016년~2019년간 서울시 주택분 취득세 납입 건수와 금액, 1건당 평균액. [사진=김상훈 의원실]
2016년~2019년간 서울시 주택분 취득세 납입 건수와 금액, 1건당 평균액. [사진=김상훈 의원실]

[아이뉴스24 김서온 기자] 文정부 3년 동안 집을 살 때 내야 하는 취득세가 1건당 평균 458만원 가량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서울시가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대구 서구, 국토교통위원회)에게 제출한 '2016~2019년간 서울시 취득세 납입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건당 평균 900만원이었던 서울 주택 취득세가 지난해 평균 1천358만원으로 458만원 증가했다. 서울에서 같은 집을 샀더라도, 집값 상승에 따라 세금 부담이 458만원 더해진 것이다.

지난 2016년 당시 평균 900만원 선이었던 취득세는 서울 집값 상승이 시작된 2017년 200여만원이 늘어난 1천101만원으로 조사됐다. 이후 집값이 오르면서 지난해 210여만원이 올라 1천358만원에 이르렀다. 다주택자 대상 취득세가 인상된 올해 증가 폭이 더 커질 전망이다.

자치구 중 평균 취득세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성동구로, 3년 새 1천570만원이 늘었다. 고가주택이 많은 강남구(1천316만원), 서초구(1천112만원), 영등포구(865만원), 동작구(603만원)가 뒤를 이었다.

김상훈 의원은 "文정부의 부동산 실정에 따른 집값 상승이 전방위적 세금폭탄 고지서로 청구되고 있다"며 "불과 3년 사이 같은 집을 샀는데도 450여만원을 더 내야한다. 국민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하루빨리 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서온 기자 summer@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울 주택 1건당 평균 취득세 458만원 올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