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최상국 기자] 정부가 우리나라 인공위성 기술의 수출산업화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상품인 위성의 해외 수출을 올해부터 본격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수출네트워크 구축 ▲위성정보 활용 SW개발 ▲우주환경 시험 ▲소자급 우주부품 국산화 등에 5년간 40억원씩 총 2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30년간의 우주개발을 통해 위성의 기술수준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고, 소형위성 중심으로 선진국 수준의 가격 경쟁력도 확보했으나 기술수준에 비해 수출실적이 저조한 상황"이라며 "우주 기업의 의견을 바탕으로 위성 수출 종합지원 사업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세계 우주산업 규모는 2018년 기준 2천774억달러로 지난 10년간 약 2배 확대됐으며, 위성 보유국도 73개국으로 늘어났다. 향후 10년간 현재 운영 중인 위성의 3배에 달하는 약 6천000기의 위성이 개발될 전망이다. 반면 2018년 현재 우리나라의 위성관련 수출액은 231억원에 불과하다.
정부는 이에 따라 핵심 우주부품 국산화를 위한 기술개발 지원은 물론, 해외 수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판로 개척, 위성 수요를 고려한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수출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신흥국가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우주개발 현황을 소개하고 기업의 비즈니스 미팅을 지원하는 '코리아 스페이스 포럼'을 7월초 개최하고 개도국 초청 연수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해외 위성수요 파악과 판로개척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우리 위성산업의 경쟁력을 고려해 중동, 동남아, 남미 등 후발 우주 개발국에 집중하기로 하고, 위성영상을 활용한 화산 폭발전조지형 탐지와 같은, 희망수요가 많고 개도국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민간 컨소시엄에 과제당 2~3억원씩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는 3개 과제에 총 7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소자급 우주부품의 국산화를 위해서는 과제당 평균 5억원씩 매년 20억원을 지원한다. 기존 타 산업분야에 상용화된 소자의 소재변경, 패키징, 재설계 등을 통해 실제 위성에 탑재 가능한 수준의 부품 국산화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히터(발열소자), 써미스터(온도센서), 파워MOSFET(출력조정소자), 자성체(전압 유도 조절 소자), 대용량 메모리 모듈 등 5개 품목이 지원대상으로 지정됐다.
이 밖에 국내 우주 기업들이 위성 및 부품의 해외 수출을 위해 필요한 우주환경시험을 위한 비용도 기업당 연간 최대 1억원 이내에서 지원하기로 했다. 우주환경 시험은 2월에 개소한 우주부품시험센터와 항공우주연구원 등을 통해 이뤄진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그동안 위성수출을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이 없어 기업이 수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며, “기업이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출 확대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