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비박·유승민계 쳐낸 與, 총선 중심에 선 朴 대통령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與 낙천자·野 공천 배후로 대통령 지목, 총선 결과에 정권 후반 좌우

[채송무기자] 여당인 새누리당의 4.13 총선 공천 과정에서 김무성 대표가 보이지 않는다. 당 대표가 선거 전반에 대한 책임을 지던 전례와 달리 이번 총선에서는 오히려 박근혜 대통령의 이름이 더 오르내리고 있다.

최근 새누리당의 공천은 현직인 김무성 대표가 "당헌당규에 위배되는 상황이 있다"며 승인을 거부할 정도로 사실상 대표가 배제된 상태다.

김무성 대표는 총선을 상향식 공천을 중심으로 한 정치 개혁을 통해 치르겠다는 생각이었으나 사실상 친박계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의 뜻대로 공천이 진행됐다. 공천위가 발표한 전국 249개 지역 가운데 경선을 하기로 결정한 곳은 141곳에 불과할 정도다.

친박계가 공언한 대구 물갈이는 현실화됐다. 박근혜 대통령과 갈라선 유승민 의원의 측근들은 모두 잘려나갔다.

유 의원과 가까운 김희국(대구 중·남구) 류성걸(대구 동갑) 이종훈(경기 성남 분당갑) 조해진(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이이재(강원 동해·삼척) 의원 등은 모두 공천에서 배제됐고, 유 의원 본인도 낙천 가능성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김무성 대표계를 제외한 비박계들도 경선 기회조차 받지 못했다. 비박계의 좌장격으로 그동안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 비판을 서슴치 않았던 서울 은평을의 이재오 의원과 재선 인천시장 출신으로 재보궐 선거에서 당선돼 인천 맹주를 노리던 안상수 의원도 공천을 받지 못하는 등 비박계 주요 인사들도 대거 탈락했다.

같은 친박계 중에서도 청와대와 갈등설이 있었던 인사는 공천에서 배제됐다.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내면서 핵심 친박으로 꼽혔으나 기초연금을 둘러싸고 청와대와 갈등을 벌이다 중도 하차한 서울 용산의 진영 의원이 탈락했다.

이같은 유승민계 비박계의 학살에 가까운 공천 결과에 김무성 대표가 "단수추천 11곳이 올라왔는데 이 중 7개 지역을 보류했다"면서 "당헌·당규에 위배되거나 국민공천제 취지에 반하는 전략공천 성격이 있는 곳이 있어 결론을 내지 못했고 최고위에서 계속 논의할 것"이라면서 재의를 요청했지만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꼼짝도 하지 않았다.

김무성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주호영 의원의 재심을 요청했고, 이재오 의원에 대해서도 "당에서 원내대표를 두 번 지냈고 5번이나 공천을 했는데 이제와서 당의 정체성과 맞지 않다는 것이 말이 되나"고 했지만 이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주호영 의원에 대해 즉각 반려했다.

공천에서 배제된 비박계 인사들은 이같은 결정의 배후로 박근혜 대통령을 지목하면서 비판하고 있다. 야권도 새누리당의 공천을 강하게 비판하며 박근혜 대통령 심판론을 제기하고 있다. 이 때문에 4.13 총선은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이 여권을 끌고 가는 선거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총선 결과가 박근혜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운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공천에 대한 비판 여론에도 새누리당이 총선에서 승리한다면 여권이 친박계 일색으로 짜여지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강력한 후반기의 동력을 얻을 수 있다.

반면, 대구에서 유승민계 무소속 후보들이 선전하거나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패배한다면 총선 책임론으로 즉시 레임덕을 맞이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비박·유승민계 쳐낸 與, 총선 중심에 선 朴 대통령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