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환경부,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속도'…연내 1천개 공개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반쪽짜리' 비판에 "내년 초까지 자발적 협약 대안 마련할 것"

[아이뉴스24 윤지혜 기자]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가 '반쪽짜리'에 그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전성분 공개 시한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전히 많은 제품의 전성분이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환경부는 올 연말까지 전성분 공개 제품 수를 1천여개로 늘리고. 내년 2월까지 자발적 협약 강화 방안 등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30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는 16개 생활화학제품 제조·수입·유통업체의 위해우려제품 23종에 대한 전성분 자료를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올 연말까지 생활환경안전정보시스템 '초록누리'에 공개된 전성분 공개 제품을 545개에서 1천여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초록누리에 전성분이 공개되지 않은 보령메디앙스를 포함해 업체별로 전성분 자료를 받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업체마다 물질명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데다, 제출 자료가 전성분인지 검증하는 작업도 필요하다"며 "빠르면 연말까지 1천개 넘는 제품이 공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작년 2월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태를 막기 위해 12개 생활화학제품 제조·수입사(애경산업·LG생활건강·유한크로락스·유한킴벌리·유한양행·한국피죤·한국P&G·옥시레킷벤키저·CJ라이온·헨켈홈케어코리아·SC존슨코리아·보령메디앙스) 및 5개 유통사(롯데마트·홈플러스·이마트·다이소·잇츠스킨)와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을 맺었다.

이 중 잇츠스킨은 더이상 생활화학제품을 판매하지 않으면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권유로 올 3월 자발적 협약을 탈퇴했다. 현재 총 16개 기업이 자발적 협약에 참여 중이다.

당초 이들 기업은 올 연말까지 환경부 초록누리와 자체 홈페이지 등에 ▲세정제·방향제 등 위해우려제품 23종 ▲세척제·행굼보조제 등 위생용품 4종 ▲가정용 차량용 매트 등 비관리제품 10종 ▲실내용 바닥재 등 전기용품‧생활용품 13종 등 모두 50종에 함유된 모든 성분을 공개하기로 했다.

문제는 올해가 한 달밖에 남지 않았음에도 여전히 많은 제품들의 성분이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현재 초록누리에는 전성분 공개 대상인 50종 폼목 가운데 위해우려제품 18종만 공개돼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관할하는 위생용품, 전기용품·생활용품, 비관리생활화학제품은 제외됐다. 사실상 절반의 공개만 이뤄진 셈이다.

정미란 환경운동연합 부장은 "정부가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를 제도화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2019년 환경부의 화학제품 안전관리 사업 어디에도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관련 사업이나 예산이 편성되지 않았다"며 "자발적 협약 이후 '생활화학 제품 전성분 표시제'와 '전성분 공개 및 함량 등록 의무제' 등의 법 제도 제정이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2019년 2월 자발적 협약 종료 시점에 맞춰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정책 방향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전성분 공개를 자발적 협약에 의해서만 진행해왔는데, 2월 전까지 다른 방식으로 갈지 협약을 강화할지 결정할 예정"이라며 "전성분 공개는 관련 법과 규정을 개정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예산과는 큰 관계가 없다. 내년에도 전성분 공개 정책을 이어간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윤지혜기자 jie@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환경부,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속도'…연내 1천개 공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