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작년 국부 5.8% 늘어 1경378조…토지 계속 올랐다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016년 국민대차대조표' 발표, 가구당 순자산 3.6억

[아이뉴스24 김다운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부(國富)' 규모가 전년 대비 715조원이 늘었다. 제주도와 혁신도시 등의 지가 상승이 이어졌다. 가구당 순자산은 3억6천779만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늘었다.

14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국가 전체의 재산을 가리키는 국민순자산(國富) 전년에 비해 715조원(5.8%) 증가한 1경3천78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1천637조4천억원의 8.0배 수준이며, 전년 7.9배에 비해 상승한 수치다.

지난해 지가상승에 힘입어 토지자산을 중심으로 비생산자산의 증가폭이 확대되고 순대외투자의 플러스 규모도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 중에서 토지·지하자원·고정자산 등의 비금융자산이 1경2천741조4천억원을 기록했고, 금융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336조6천억원이었다.

비금융자산을 자산형태별로 보면 생산자산이 2016년말 현재 5천712조7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했고, 비생산자산은 7천28조7천억원으로 63% 늘었다.

생산자산중 건설자산은 147조4천억원(3.5%) 증가했고 설비자산은 38조원(5.5%), 지식재산생산물은 15조7천억원(5.0%) 각각 증가했다.

◆제주도·혁신도시 개발로 토지자산 증가

특히 비생산자산 중 토지자산이 409조8천억원(6.2%)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전체 비금융자산에서 토지자산의 비중은 2007년 57.1%를 기록한 뒤 하락하다 2014년부터는 다시 확대되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54.8%를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토지자산의 증가세가 축소됐으나, 혁신도시, 제주도 및 세종시 개발 등에 힘입어 2014년 이후 증가세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토지유형별로는 공원, 체육용지 등 문화오락용 토지 및 건물부속토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2015년 토지자산 규모는 서울이 가장 컸고, 증감률은 제주가 가장 높았다.

서울은 2015년 말 기준 1천747조9천억원으로 전체 토지자산의 26.6%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경기 1천700조8천억원(25.9%), 경남 391조3천억원(6.0%), 경북 341조6천억원(5.2%), 인천 329조6천억원(5.0%) 순이었다.

그동안은 수도권 지역의 증가율이 수도권 이외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됐으나, 2011년 이후 역전돼 수도권 이외지역이 토지자산 증가세를 주도했다.

2015년 중 제주의 토지자산 증가율이 26.0%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세종(24.3%), 대구(12.6%), 부산(9.9%) 등이 10% 내외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충남(2.9%), 인천(3.5%), 서울(3.7%), 경기(4.0%), 대전(5.6%)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2012년 세종시 출범, 2013년 이후 지방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토지자산의 수도권 집중도는 완화되는 모습이다. 수도권 지역의 토지자산 비중은 2010년 61.4%에서 2015년 57.5%로 감소했다.

지가 상승으로 인해 토지를 비롯한 지하자원, 입목자산 등 비생산자산의 가격 상승률은 2016년 4.6%로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국 지가상승률은 2013년 1.1%, 2014년 2.0%, 2015년 2.4%에서 2016년 2.7%로 계속 확대되고 있다.

◆1가구당 순자산은 평균 3.6억원

부문별로 국민순자산을 살펴보면 2016년 말 기준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7천539조원을 기록하며 전체의 57.6%로 가장 많은 순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정부는 3천543조6천억원(27.1%), 비금융법인기업은 1천719조7천억원(13.1%), 금융법인기업은 275조6천억원(2.1%)의 순이었다.

다만 비금융법인기업의 순자산 증가세가 확대된 반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축소돼 기업과 가계 간의 격차가 벌어졌다.

비금융법인기업의 순자산 증가세는 2016년 8.9%로 전년(7.5%)보다 확대된 반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증가세는 같은 기간 중 6.2%에서 5.0%로 축소됐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기준으로 가구당 순자산은 3억6천779만원으로 추정된다. 전년 대비 627만원 늘었다.

자산 중에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면서 국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보유자산 중 비금융자산의 비중은 2008년말 이후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다.

총자산 중 비금융자산 비중은 2016년 62.8%로 전년(63.0%)보다 감소했다.

하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해 비금융자산 비중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미국의 경우 총자산 기준 비금융자산의 비중은 30.0%, 일본은 37.8%, 영국은 47.2%, 독일은 59.5% 등을 기록하고 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대표 자산인 주택의 시가총액은 2016년말 현재 3천732조원으로 GDP 대비 2.28배 수준이다. 2001년 1.53배에서 2009년 2.30배까지 상승한 후 하락했으나 2014년부터 소폭 상승했다.

◆R&D 등 지식재산생산물 비중 확대

2015년 말 기준 경제활동별 고정자산 규모는 서비스업이 3천814조1천억원(73.7%)으로 가장 컸다. 서비스업에는 부동산·임대, 공공행정·정부 국방서비스 등이 포함된 것이다.

뒤이어 광업·제조업 975조9천억원(18.8%), 전기·가스 및 수도업 284조3천억원(5.5%), 농림어업 61조4천억원(1.2%), 건설업 42조1천억원(0.8%)의 순이었다.

고정자산의 GDP 대비 배율은 2016년 3.3배로 전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우리나라의 실물자본축적이 상당 수준 진전되면서 고정자산의 GDP 대비 배율은 3.3배 수준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자산이란 건물·토목건설 등의 건설자산과 기계·운송장비 등 설비자산, 지식재산생산물(IPPs)로 구성돼 있다.

이 중에서 고정자산 중 지식재산생산물의 비중은 2016년 말 기준 6.1%로 계속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GDP 대비로는 20.0%다.

지식재산생산물은 2016년중 연구개발(R&D) 자산의 증가에 주로 기인하여 15조7천억원(5.0%) 증가했다.

2015년 현재 우리나라의 R&D 지출규모는 580억3천만달러로 미국, 중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5위, GDP 대비 비중(4.23%)은 이스라엘(4.25%)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다만 최근 경기둔화로 인해 R&D 지출 증가세가 둔화되는 추세다. R&D 증가율은 2014년 7.5%에서 2015년 3.5%로 축소됐다.

김다운기자 kdw@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작년 국부 5.8% 늘어 1경378조…토지 계속 올랐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