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아마존 강에 빠진 전통 언론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요즘 전통언론들의 체면이 말이 아니다. '무관의 제왕'이란 자존심은 사라진 지 오래됐다. 언제부터인가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로 바뀌었다. 더 큰 문제는 이게 지방 중소언론사만의 문제가 아니란 점이다. 세계 언론계를 좌우하는 신문들도 너나할 것 없이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보스턴 글로브는 여기서 한 발 더 나간다. 이 신문 인수자인 존 헨리는 미국 프로야구 구단인 보스턴 레드삭스 구단주다. 존 헨리가 보스턴 글로브를 인수하기 위해 지불한 돈은 고작 7천만 달러. 그가 보유하고 있는 보스턴 레드삭스 선수들 연봉 총액인 1억5천만 달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가격이다. 외신들에 따르면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상위 5명의 연봉 합계가 정확하게 7천만 달러다. 미국 프로야구 구단주가 특급선수 5명 연봉으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신문 자산을 인수한 셈이다.

베조스나 헨리가 왜 거대 언론사를 인수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딱 부러지게 밝힌 적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추론은 해 볼 수 있다. 일단 언론사 가격이 엄청나게 하락했다. 니먼저널리즘랩에 따르면 미국 언론사의 자산 가치는 2000년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보스턴 글로브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할 경우 20년 전 타임스 컴퍼니가 매입할 때의 4% 수준에 불과했다고 한다. 돈 많은 억만장자들이 신문사 인수를 노릴만한 상황인 셈이다.

왜 이 지경까지 몰렸을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언론사들이 기술이나 사회 변화에 눈과 귀를 닫고 있었던 점이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봐야 한다. 요즘 잘 쓰는 말로 '혁신의 실종' 때문이란 얘기다. 제프 베조스가 워싱턴포스트를 인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많은 사람들이 기대감을 나타낸 것도 이런 사정과 무관하지 않다. 언론사 내부에서 잔뼈가 굵은 사람들은 도저히 해내지 못할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일찍이 윈스턴 처칠은 "전통이 없는 예술은 목자 없는 양떼와 같고, 혁신이 없는 예술을 시체와 같다"고 말했다. 지당한 말이다. 그런데 저 말에서 '예술'을 '언론'으로 바꿔도 되지 않을까? 그 동안 언론은 다른 조직에 비해 혁신보다는 전통 쪽에 좀 더 가까운 편이었다. 이는 사회 비판을 주로 하는 업의 성격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남을 비판하기 위해선 자기를 먼저 돌아봐야 하고, 그러다 보면 전통적인 가치를 중시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에서 마지막까지 세로쓰기를 고집한 것이 성경(혹은 불경)과 신문이란 점만 봐도 알 수 있다.

하지만 혁신을 외면한 전통은 결코 살아남을 수가 없다. 그건 언론도 마찬가지다. 그게 우리가 워싱턴포스트와 보스턴 글로브의 연이은 매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엠톡 편집진도 늘 이 말을 가슴 속 깊이 새기려 한다. "전통이 없는 언론은 목자 없는 양떼와 같고 혁신이 없는 언론은 시체와 같다"고.

김익현 편집장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아마존 강에 빠진 전통 언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